(뻘글) 오늘 법학적성시험(LEET) 날이라 한 마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98041
옯붕이들한테 뭐 하나 묻자.
요새 수능 국어 비문학이 '리트화(LEET化)'되어 가고 있다고 말하는 옯붕이들이 있던데, 그 '리트화'라는 게 어떤 거냐? 그저 내가 읽기 어렵고 내가 풀어서 틀렸으면 '리트화'된 지문·문제인가?
국어 강사인 내가 한 번 말해볼게.
내가 수험생이던 수능 언어영역(80~90분 / 50~60문항 / 문제당 1~3점) 시절과 비교했을 때, 요즘 수능 국어영역(80분 / 45문항 / 문제당 2~3점)에서는 '거저 주는 문제'가 전부 없어졌다. 지문과 문제를 한 번 읽고 내용을 숙지했을 때 글의 논지 혹은 사실 일치 여부를 묻는 문제들로, 보통 지문이 주어지고 가장 먼저 등판하며 언어영역 시절에는 1점짜리로 자주 출제됐지.
이 '거저 주는 문제'들 대신 17 수능부터 많이 나오는 유형이 바로 '숨은 전제 찾기', 지문과 <보기>에서 전제 하나랑 결론만 던져주고 "나머지 숨은 전제 하나를 5개 선택지 중에 찾아라."하는 유형. 나는 이게 LEET 언어이해·MDEET 언어추론·PSAT(입시 1차 포함) 언어논리에서 가장 많이 나온 문제 유형이라고 본다. LEET 언어이해에서는 1지문 3문항 세트를 풀면 최소 1문항은 이 유형이 나올 정도이고, PSAT 언어논리에서는 대놓고 "다음 중 전제가 나머지와 다른 한 주장은?" 식으로 물어볼 정도지. 이렇게 도출된 '숨은 전제'를 '사례 적용'할 수 있도록 융합형으로 출제하면 어떤 언어 시험에서건 최고난도 문항이 나온다. LEET 언어이해·PSAT 언어논리는 그저 텍스트가 길고 시간이 빠듯하게 주어진다고만 해서 수능보다 어려운 게 아니야. 실제로 지문과 문제를 독해하면서 해설을 직접 써보거나 구조를 그려본다면 바로 체감할 수 있을 거야.
이렇게 수능 국어 비문학에서 단순하게 글의 논지를 직설적으로 묻거나 사실 일치 여부를 묻는 문제가 전부 없어지고, 대신 추론을 통해 숨은 전제를 찾는 문제가 빈출되는 경향이 소위 '리트화' 아닐까 생각한다. 마침 오늘 법학적성시험 날인데 최상위권이나 국어 자료 찾는 옯붕이들은 이따 오후에 문제·정답 공개되면 한 번 풀어보고 체감해보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많음?? 남동생 군댜갓는데 휴가나오ㅕ면 여친한테만 가고 전화도 여친한테만함…
-
대성패스 안사고 진또베기랑 유대종의 미 2개 단일 강좌로 구매할려고 하는데 대성패스...
-
헤헤..
-
부엉이 모의고사 3회 이번에도 퀄리티는 남달랐습니다 정말 좋앗어요 저는 19 21...
-
화2 생2
-
난 18 19 20 25~28에다가 43 44 45까지 총 10문제 푸는데 님들은여
-
공대 안가는게 맞겠죠? 사실 과장 좀 보탰지만 하방이 10점대인건 맞음
-
길로틴으로 잡으면 더 웃길듯
-
한지 어떤가요 4
지금 생명사문 하는중인데 생명이 너무 안올라서 한지로 사탐런 생각중인데 지금...
-
궁금함
-
나랑 그.. 아시죠?
-
서울대에 가야하는 이유 10
-
너무 많아
-
지1을 확실하게 일단 만들어야할듯
-
별 어려움 없이 금방 풀었던 거 같은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 실력으로 그걸? 싶음...
-
중1 때부터 건초염에 시달리는 중임
-
냥이 9
냥이종지
-
펀더랑 N티켓 시즌1 이후에 어떻게 할지 추천해주세요! 0
카나토미랑 펀더,N티켓 시즌 1 병행하고 그 이후에 4규같은 다른 N제나 한완기...
-
나도 엄으로 바꿔야되나
-
I+II 조합 추천좀
-
힘세고 좋은 아침 10
불끈불끈
-
강의중단했는데 연프 나온다고 중단한거임? 건강상 이유로 강의 중단한다했는데...
-
놀랏음
-
탐구고르는데 이렇게까지 고민하게 하는 교육과정 이게 맞음? y이 #~#은 왜 입시를...
-
뭐가 있을까요 쇼츠로 만들게,,,
-
작수 풀어서 42점 나옴 그냥 계속 파봐?
-
님들 선호도는 어딘가용
-
나한테 서울대는 못가면 마는정도의 목표대학 그 이상의 무언가임 오랫동안 쌓이고쌓인...
-
힌트 두글자
-
학력고사~초기 수능은 전체 100점 만점이면 전국수석이 한 70점 정도 했는데 요즘...
-
실모배틀
-
파이썬 나왔다는데요? ㅋㅋㅋㅋ
-
근데 생윤이랑 윤사는 못해먹겠음 ㄹㅇ 이럼 사회 뭐해야함 12
원래는 화2지1생각중이엿는데 화2 실력이 너무 안느는거같아서 경제지1생각중임
-
그냥 굶고 집 가서 밥 먹거나 서브웨이를 가끔씩 가거나 그렇게 지내는 듯
-
왜인지 모르게 내적 친밀도가 오름
-
지방한의대 가서 한의사 하는거보다 못삼?
-
강평업 나온자도 몰랏네,, 무슨 강좌 일라나
-
아니 근데 국어 막 사설이랑 평가원 다르다 뭐시기하면서 6
정작 평가원 잘나오는 사람들은 사설도 잘나옴 걍 말이 모순임
-
오랜만에 푸는데 논리적 합당성이 부족한가
-
프린트팜 제본 11
프린트팜 제본 시켰는데 이거 원래 배송이 이렇게 오래걸리나요 ? 7월 18일 오전에...
-
ㅂㅅ같이 가나지문에서 3개 틀림 ㅋㅋㅋㅋㅋ...
-
시발
-
퀄리티가 구려서 못올리겟음 곱게 묻어줫음
-
그거 처음풀었을때 시간재고 29틀 96인가? 그랬음 시간 100분 거의 꽉맞춰 풀음
-
서술범주파악실패는 강평ㅋㅋㅋ 이것도 봄
-
혼자 먹을만한 메뉴 추천 plz
-
50만 수험생의 변별을 하기위한 난이도의 문제를 내는게 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선생님
그냥 오늘 리트날이라 생각나는대로 막 써본 뻘글인데 그렇게 말씀해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런 내용을 알수있는 사람은
수능국어와 리트 둘다풀어본사람일텐데
뜻을 이해하고 쓰던사람들이
커뮤에서 쓰기 시작하니까
그냥 일반학생들도
어느순간부터 어렵다=리트화되었다
이런 뉘앙스로 쓰는거 같긴해요
저는 수능국어 따위에 리트를 비견하는 것 자체가 결례라고 생각해요. 수능시험은 최소한 지문근거로 추론할 수 있게 나오고, 모든 선지가 추론적인 경우는 없는데 리트는 모든 선지가 추론해야 하거나, 지문을 근거로 명확히 답을 찾을 수 없고 상당한 개연성만 느껴지는 경우도 많아서요.
딱 들어맞진 않지만, 도구를 쓰는 원숭이를 보고
원숭이가 인간화 됐다고 하는 느낌이랄까...?
근데 추론에 오지게 강한 애가 따로 있긴 하더라고요
그 영역은 공부 1도 안하고 쓸어버리던데
꼼꼼히 읽고 찾아라->이런건 그냥 덤벙거리는지 틀림 ㄹㅇㅋㅋ
근데 지문에서 추론하는것과
지문밖 지식까지 알고서 근본 추론을 하는것에서
결국 리트가 이긴다고 생각함
수능 국어대비도 리트 기준은 쉬운 지문만 가능
언어영억땐 듣기도 있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