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도 단어 싸움입니다 – 수능까지 이어지는 어휘력 공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83205
(지난 글이 조금 어렵게 쓰여진 것 같아 다른 버전으로 씁니다)
부제: 아는 단어도 반드시 다시 공부해야 하는 이유
수능 국어 공부에서 많은 학생들이 간과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단어 공부, 그리고 단어 공부의 방식과 깊이입니다.
대부분은 모르는 단어만 외우는 데 집중하지만, 진짜 어휘력은 그것만으로는 완성되지 않습니다.
수능 국어에서 필요한 어휘력은 단순 암기가 아니라,
* 정확한 뜻을 알고,
* 문장에서 빠르게 의미를 파악하고,
* 필요할 때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어 성적 향상은 물론, 독해력성장에 필수적인 어휘 학습의 실전 전략을 소개합니다.
1. 단어를 ‘모른다’는 건 어떤 상태일까?
학생들은 종종 단어를 ‘본 적 있다’, ‘대충 안다’는 이유로 그냥 넘어갑니다. 하지만 실제로 "모르는 줄 몰랐던 단어"가 매우 많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글을 읽다가 그 일부가 어딘가 이해되지 않았을 때, 그 이유는 바로 그 문장 속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몰랐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단어를 잘못 알고 있거나, 일부 의미만 알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 ‘양보’와 ‘양도’
두 단어 모두 '넘겨준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양보’는 대가 없이, ‘양도’는 대가를 받고 넘겨준다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다릅니다. 이런 식의 의미 구분 실패는 수능 지문을 정확히 읽는 데 큰 장애물이 됩니다.
2. "청정하다"와 "깨끗하다"는 다르다
‘청정하다’를 ‘깨끗하다’로 쉽게 바꿔서 외우면 어떻게 될까요?
"청정한 해역"과 "깨끗한 해역" 같은 말 같지만,
청정하다는 단어에는 오염된 것이 들어오지 않고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강조하는 뉘앙스가 담겨 있습니다.
또한 ‘청정 에너지’, ‘청정 지역’처럼 단어가 자주 쓰이는 맥락까지 함께 이해해야 지문에서 이 단어가 쓰였을 때 정확히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 어휘는 단어 하나만 알면 끝이 아니라, 그 단어의 사용 맥락, 유의어, 뉘앙스까지 함께 익혀야 합니다.
3. 단어를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 사전 공부의 기술
사전을 펼쳤을 때 단순히 뜻만 보고 넘어가지 마세요.
6하 원칙(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에 따라 의미를 분석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깨끗하다’는,
사물이 때나 먼지 없이 말끔하다 (물리적 의미)
사람의 성품이나 행실이 바르고 정직하다 (추상적 의미)
이처럼 하나의 단어에도 전혀 다른 두 의미가 있을 수 있으며,
문장에 따라 어떤 의미로 쓰였는지를 구분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 예문을 반드시 활용하자
대부분은 사전에서 단어 뜻만 확인하고 끝냅니다.
그러나 단어는 예문을 통해 살아납니다.
예문을 반복해서 읽으며,
어떤 맥락에서 이 단어가 쓰이는지
그때 의미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대체 가능한 유의어나 반대 개념은 무엇인지
를 함께 확인하세요.
예: 청정하다
공기가 매우 청정하여 숨 쉬기 편하다.
청정 에너지는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청정한 숲속에 있으니 마음도 청정해지는 듯하다.
✔️ 유의어·연상어 학습도 함께
‘청정하다’를 공부할 때,
청렴하다, 순수하다, 깨끗하다 같은 단어들도 함께 학습하면
이 단어들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렴하다’는 사람에게 쓰이며, 부정한 청탁이나 욕심이 없는 상태를 뜻하죠.
이런 식으로 단어 간의 의미 거리를 파악하면서 어휘의 맥락적 감각을 키울 수 있습니다.
4. 단어는 ‘사용’할수록 빨라진다
어휘력은 단순히 알고 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 단어의 의미를 빠르게 떠올릴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중요한 개념이 바로 빈도 효과입니다. 단어를 많이 사용할수록, 그 단어의 의미가 더 빠르게 처리됩니다. 반복된 노출과 사용이 그 단어를 ‘머릿속 단축키’처럼 만들어 주는 거죠. 단어의 뜻풀이뿐만 아니라 예문을 보고 글을 읽을 때마다 의도적으로 그 단어에 주목하고 직접 써보는 경험까지 쌓아야 실질적인 어휘력이 자랍니다.
5. AI를 활용한 어휘 확장 팁
기존 사전의 예문은 짧거나 오래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AI 도구(예: ChatGPT)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청정하다 예문 10개 만들어줘”
“청정하다라는 단어를 활용한 짧은 글 써줘”
이런 식으로 단어의 다양한 사용 맥락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읽으며 내 어휘로 체화시킬 수 있습니다.
6. 단어 공부는 문해력 전체를 바꾼다.
국어 독해력은 결국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 능력 위에 세워집니다.
지문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논리 구조를 따라가며, 함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문장에서 단어가 가진 정확한 뜻, 쓰임, 뉘앙스, 어감을 단번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수능을 위한 국어 공부는 단어 암기를 넘어서 어휘의 구조, 쓰임, 의미 차이, 연상까지 아우르는 통합적 학습으로 가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어휘 공부’는 수능을 준비하는 학생에게 가장 실용적이고 강력한 투자입니다.
그리고 그 방법은 단순 암기에서 벗어나야만 합니다.
아는 줄 알았던 단어를 다시 점검하고,
정확한 뜻과 쓰임을 이해하며,
반복적인 예문 노출과 사용 경험을 통해,
진짜 어휘력, 즉 읽고,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지금 이 순간부터 단어를 보는 눈을 바꾸어 보세요.
그 변화가 수능 국어뿐 아니라 모든 과목의 이해력까지 바꾸게 될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ㄱㄴ
-
주차되어있는 차 탈 때 문 열기 힘들까봐 차키에 어떤 누르면 차가 지혼자 앞으로 나옴
-
내인성레트로 바이러스, 베이즈, bis 개화론 노이즈 #~~#
-
미적 29 30 건들지도 못함 공통은 15 22 째낌
-
하..
-
동생이 진로를 아직 잘 못 정하고 있음 취미로 기타치는데 실음과 가면 대졸 이후...
-
날씨개같다 4
차라리땡볕어게인을다오
-
진짜 제대로 변별 당했네 ; 미적 1틀 70점대 각임
-
27 30번이 현장에서 ???하다 ㅈ되는 시험지라 생각합니다
-
영어는 역시 8
-
7모 14 15 21 22 28 29 30틀 입니다.(낮3) 저는 7등급부터...
-
이게 진짜 슈학이제
-
ㅈㄱㄴ 물어볼게있어서… 음악쪽이에요
-
콘서타먹으니까 오전 11시 복용했는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잠 안와서 미치는줄 알았네
-
이 묘한 사설스러움은 너무 이질감이 듬
-
그대의 매일매일이 38
사랑과 소망과 행복 그리고 평화의 안식으로 가득 차기를. 내가 당신을 바라볼 때...
-
과목 꽤 바꿔서 풀도핑하고 공부하는 중 상반기엔 돈버느라 바빴고 뭐 일한건 아니고...
-
2등급임
-
제본하면 미색모조지 80g으로 해도 필기할때 뭐라고해야되지 시중판매책 같은 부드러운...
-
월 200대에서 끊기는 재종 있을까요? 시대나 강대는 넘 비싼거같아서 ㅠ
-
생1 에반데,, 0
앞에 싹 건너뛰고 킬러부터 맛보려고 핵형파트 공부하고 문제푸는데 1. 재밌음 ㄹㅇ...
-
ㅈㄴ고능아 폭간트미있어서 찾아봤는데 과기대구나… 역시 고능아였구먼
-
행복해져라 6
얍
-
이서준쌤이 “자기 풀이 아니면 다 틀렸다” 라는디 맞나요?
-
님들이면 누구 커리탐?
-
오늘처음감
-
문과여도 미적분 기하 배우나???
-
미적이고 킬캠 제외하고 하나만 산다면 뭐 사는게 좋을까요?
-
쫌 살살해봐
-
사문런하려는데 지금 시작하면 오히려 개념 나중에 다시봐야할수도있다는데 차라리 수학에...
-
???: 강평업 모고임? 우기분 대신임? 파이널 이거만함? 0
해시태그에서 느껴지는 강민철의 몸부림
-
의치약수수 가 됩니다 의대 치대 약대 수의대 수리과학부(...) 종종 수리과학부랑...
-
개념 기출 강의 이후로 예정된 커리를 진행하지 않고 잠수탔다가 6월 말쯤에 공지에...
-
하루 2-3시간 공부 투입 9모까지 쌍지 11만들기 국어는 2 목표로 감유지 1주일...
-
내신 끝나고 사탐런 시작해서 개념 거의 막바지인데 모고같은거 풀어보면 도표풀때는...
-
31124 인데 얼마나 걸리려나..
-
김승리 KBS 3
현대 산문 롱폼 숏폼 둘다 보고 책으로 전문까지 봐야될까요? 아니면 영상만으로도 커버가 되나요?
-
하루에 3시간씩 푼다고 가정하면 어싸 한권 푸는 데 몇 일 몇 시간 정도 걸리시나요...
-
내신 수학 대비 0
현 고2인데 내신 수학 등급에 큰 위기감을 느껴 질문글 올립니다.. 저희 학교가...
-
욕나옴 이게 어느 수준까지는 괜찮거든?? 1등급 찍고 나면 진짜 욕나오는 상황이 생김
-
불만 없지?
-
안녕하세요 더프처럼 응시하면 성적산출해주는 모의고사들중 개인이 구매할 수 있는게 뭐뭐있나요??. ㅜ
-
https://youtube.com/channel/UCIffEekSVRDzybE_pA...
-
이지영 개념강의 현돌 기시감(기출) 이 2개만해도 될까요?? 2년전 수능 1등급이고...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전에 어휘력에 관심을 가졌다가 최근에 등한시하고 있었는데.. 다시금 어휘력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