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재미있는 예시들로 알아보는 누적 백분위의 개념과 양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77077
안녕하세요, 새롭게 인사드리는 CRUX 투타임즈입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대학별 계산식을 반영한 가상의 예시를 통해, 누적 백분위(누백)의 개념과 그것이 입시 결과에 적용되는 양상을 쉽고 재미있게 알아보겠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모집단의 크기와 성적 분포는 실제와 다르게 다소 과장될 수 있으며, 이하의 내용은 모두 가상의 2026학년도 6월 모의고사 성적을 기반으로 합니다.
1. 기본 설정: 가상의 학과와 지원자들
먼저 가상의 모집 단위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2026학년도, 첨단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서강대학교에 AI글로벌비즈니스지리학과(인공지리)가 신설되었다고 가정합니다. 정시 모집 인원은 5명, 입학 적정 점수는 서강대식 환산점수 500점 언저리입니다.
다음은 인공지리학과에 지원할 가여운 학생 열 명의 프로필입니다. 서강대식 점수 산출 방식에 맞춰 구성했으며, 실제 입시와 같이 다양한 성적 조합을 가진 학생들이 모여 있습니다.
학생 | 탐구유형 | 국어(표점/등급) | 수학(표점/등급) | 영어(등급) | 한국사(등급) | 탐구1(백분위/등급) | 탐구2(백분위/등급) | 서강대식 점수 | 누적백분위(문과식) |
A | 사탐 | 132 (1) | 130 (1) | 1 | 2 | 73 (4) | 96 (1) | 499.92 | 1.40% |
B | 과탐 | 124 (2) | 137 (1) | 2 | 1 | 84 (2) | 93 (2) | 501.47 | 1.14% |
C | 사탐 | 127 (2) | 133 (1) | 3 | 1 | 91 (2) | 91 (2) | 500.38 | 1.31% |
D | 사탐 | 135 (1) | 120 (3) | 1 | 1 | 98 (1) | 91 (2) | 499.84 | 1.41% |
E | 과탐 | 132 (1) | 129 (2) | 3 | 1 | 89 (2) | 90 (2) | 500.00 | 1.38% |
F | 과탐 | 131 (1) | 131 (1) | 2 | 3 | 91 (2) | 86 (3) | 501.32 | 1.16% |
G | 과1사1 | 115 (4) | 143 (1) | 3 | 1 | 98 (1) | 91 (2) | 503.24 | 0.92% |
H | 과1사1 | 137 (1) | 120 (3) | 1 | 1 | 94 (2) | 85 (3) | 498.32 | 1.67% |
I | 사탐 | 129 (2) | 129 (2) | 1 | 2 | 85 (3) | 92 (2) | 497.01 | 1.96% |
J | 과탐 | 128 (2) | 133 (1) | 3 | 1 | 97 (1) | 93 (2) | 504.75 | 0.74% |
기본 서강대식 반영비로 순위를 매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학생 J: 504.75점 (과탐)
학생 G: 503.24점 (과1사1)
학생 B: 501.47점 (과탐)
학생 F: 501.32점 (과탐)
학생 C: 500.38점 (사탐)
--- (합격선) ---학생 E: 500.00점 (과탐)
학생 A: 499.92점 (사탐)
학생 D: 499.84점 (사탐)
학생 H: 498.32점 (과1사1)
학생 I: 497.01점 (사탐)
5명 정원에 최초 합격자 5명 중 4명이 이과 배경(과탐, 과1사1)을 가진 학생으로, 교차지원 비율이 높은 최근의 입시 현실을 잘 보여줍니다. 실제 입시라면 점수 최상위권인 J와 G 학생은 고려대학교 인문계열 등으로 빠져나가며 추가 합격을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제부터 다양한 변수를 적용해 순위가 어떻게 뒤바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 변수 적용 ①: 사탐 가산점 7% 부여
총장님이 신입생들의 인문학적 소양 부족을 우려해, 사탐에 7% 가산점을 부여하는 경우입니다.
순위 | 학생 | 탐구유형 | 최종점수 | 순위변동 |
1 | G | 과1사1 | 506.02 | ▲1 |
2 | C | 사탐 | 505.93 | ▲3 |
3 | D | 사탐 | 505.61 | ▲5 |
4 | A | 사탐 | 505.19 | ▲3 |
5 | J | 과탐 | 504.75 | ▼4 |
--- | --- | --- | --- | --- |
6 | I | 사탐 | 502.42 | ▲4 |
7 | B | 과탐 | 501.47 | ▼4 |
8 | F | 과탐 | 501.32 | ▼4 |
9 | H | 과1사1 | 500.94 | - |
10 | E | 과탐 | 500.00 | ▼4 |
순위에 대격변이 일어났습니다. 원래대로라면 다른 대학에 합격했을 J학생마저 합격선 끝자락으로 밀려나고, 과탐 응시자들은 사실상 지원이 무의미해졌습니다. 반면 준수한 사탐 성적을 가졌던 D학생은 무난히 최초 합격하며, 10위였던 I학생마저 합격권에 진입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요?
추가 합격 감소: 타 대학으로 빠져나갈 이과생 대신 서강대에만 합격 가능한 문과생들이 대거 합격하면서 이탈자가 줄어듭니다. 학생 I처럼 타 대학 합격은 불투명하지만 서강대만은 합격 가능한 ‘충성도 높은’ 지원자 풀이 형성됩니다. 동 급간은 커녕 경희대학교도 붙을지 모를 I와 같은 학생이 서강대만 합격이 가능한 상황이 펼쳐지고 서강대에 무조건 붙어야하는 인원이 늘어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무모한 지원보다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인원이 많아집니다. 서강대 떨어지면? 바로 외대, 건대.. 안정적으로 쓸 수밖에 없습니다.
문과 누백 하락: 기존에 문과 상위 1.4% 학생까지 합격하던 학과가, 이제는 이과생이 빠져나간 자리를 문과생이 채우며 상위 2.0% 이하까지 합격하게 됩니다. 이는 ‘문과 몇 등까지 서강대에 갈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누백의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3. 변수 적용 ②: 과탐 가산점 3% 부여
반대로 총장님이 R관(공대 건물입니다) 부흥을 위해 과탐에 3% 가산점을 부여하는 경우입니다.
순위 | 학생 | 탐구유형 | 최종점수 | 순위변동 |
1 | J | 과탐 | 507.23 | - |
2 | G | 과1사1 | 504.53 | - |
3 | B | 과탐 | 503.79 | - |
4 | F | 과탐 | 503.64 | - |
5 | E | 과탐 | 502.34 | ▲1 |
--- | --- | --- | --- | --- |
6 | C | 사탐 | 500.38 | ▼1 |
7 | A | 사탐 | 499.92 | - |
8 | D | 사탐 | 499.84 | - |
9 | H | 과1사1 | 499.55 | - |
10 | I | 사탐 | 497.01 | - |
변화가 크지 않아 보이지만, 5위와 6위의 점수 차가 2점 가까이 벌어진 것은 매우 유의미한 결과입니다. 이 경우 서강대학교를 합격할 점수의 사탐 응시자는 넉넉히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인문계 합격이 가능하기에 사실상 서강대 지원을 포기하게 됩니다.
문과 누백 상승: 문과 상위 1.4% 학생이 가던 학과에 이과생이 더 많이 합격하게 되면서, '실질적으로 문과생이 지원하느냐와 별개로' 합격할 수 있는 문과생은 상위 1.0% 언저리로 올라갑니다. 이는 입결표 상의 누백 상승으로 나타납니다.
4. 변수 적용 ③: 영어 등급 간 3점 감점
세계화 시대를 맞아 총장님이 글로벌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등급당 감점 폭을 3점으로 늘린 경우입니다.
(기존: 2등급 -0.5점, 3등급 -1.5점)
순위 | 학생 | 영어등급 | 최종점수 | 순위변동 |
1 | J | 3 | 500.25 | - |
2 | A | 1 | 499.92 | ▲5 |
3 | D | 1 | 499.84 | ▲5 |
4 | B | 2 | 498.97 | ▼1 |
5 | F | 2 | 498.82 | ▼1 |
--- | --- | --- | --- | --- |
6 | G | 3 | 498.74 | ▼4 |
7 | H | 1 | 498.32 | ▲2 |
8 | I | 1 | 497.01 | ▲2 |
9 | C | 3 | 495.88 | ▼4 |
10 | E | 3 | 495.50 | ▼4 |
다시 한번 순위가 요동칩니다. 압도적 1위였던 J학생은 점수 차가 크게 줄었고, 영어 1등급을 받은 A, D 학생은 순위가 5단계나 급등했습니다.
누백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으로 영어 반영 비중이 크면 지원자 풀이 줄어 누백에 불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주변 대학들의 영어 감점 폭이 작은 경우가 많기에, 오히려 서강대만의 독자적인 지원자 풀을 확보해 상위 대학으로의 이탈을 막고 추가 합격을 줄일 가능성 역시 있습니다. 그 효과는 해당 연도 수능의 영어 1등급 비율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므로 복합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5. 변수 적용 ④: 한국사 등급 간 3점 감점
사학과 출신 새 총장님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며 한국사 등급당 감점을 3점으로 대폭 확대한 경우입니다.
순위 | 학생 | 한국사등급 | 최종점수 | 순위변동 |
1 | G | 1 | 503.24 | ▲1 |
2 | B | 1 | 501.47 | ▲1 |
3 | E | 1 | 500.00 | ▲3 |
4 | J | 3 | 498.75 | ▼3 |
5 | H | 1 | 498.32 | ▲4 |
--- | --- | --- | --- | --- |
6 | A | 2 | 496.92 | ▲1 |
7 | D | 2 | 496.84 | ▲1 |
8 | F | 3 | 495.32 | ▼4 |
9 | C | 3 | 494.38 | ▼4 |
10 | I | 2 | 494.01 | - |
이 역시 극단적인 예시이지만, 순위 변동이 매우 큽니다. 한국사 1등급 학생들은 다른 과목의 불리함을 만회하며 합격하고,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큰 핸디캡을 안게 됩니다. 주변 급간 대학들은 모두 한국사를 이렇게 반영할 일이 없기에 상위 대학으로 빠지는 최초합 인원은 적어지고, 동 급간 다른 대학을 붙지 못하지만 서강대에는 지원해볼 만한 서강대식 인재가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다만, 한국사 1등급의 경우 1등급 비율이 평이하게 나온다면 서강대학교에 진학할 정도에는 해당하는 인원이 많을 것이기에 입결 상승 폭이 미미할 수 있고, 반대로 한국사 2등급 이하가 서강대 지원을 꺼려 이전보다 지원자 풀이 부족해지게 된다면 추가합격이 돌면 펑크가 나는 역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이 전형은 소위 ‘변태 전형’이라 불리며, 입결 상승을 유도하는 전략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결론: ‘변태 전형’은 왜 입결을 상승시키는가?
그렇다면 독특한 전형, 즉 '변태 전형'은 어떻게 입결(누백) 상승을 이끌어낼까요?
핵심은 ‘주변 대학과의 반영비 유사도’에 있습니다.
가령 서울대학교가 갑자기 수능 대신 마라톤 성적 100%로 학생을 선발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수능 성적과 마라톤 실력의 연관성은 거의 없으므로, 마라톤을 잘하는 학생들은 다른 의대나 메디컬 학과에 중복 합격할 가능성이 없습니다. 그들은 오직 서울대에만 지원하고 합격할 것이며, 추가 합격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 결과 서울대의 입결 순위(누백)는 극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처럼 특정 대학이 주변 경쟁 대학과 다른 독특한 전형을 만들면, ‘오직 이 대학에만 최적화된’ 충성도 높은 지원자들을 확보하게 됩니다. 이들은 다른 대학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낮아 추가 합격이 줄고, 최초 합격자들이 그대로 등록하면서 해당 대학의 누백 순위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상승하는 효과를 낳습니다.
결론적으로, 누적 백분위라는 개념 자체는 단순하지만 그것이 실제 입시에서 작동하고 결과를 만들어내는 양상은 이처럼 매우 복잡하고 다층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6 크럭스(CRUX) 수시 컨설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쫌 살살해봐
-
사문런하려는데 지금 시작하면 오히려 개념 나중에 다시봐야할수도있다는데 차라리 수학에...
-
???: 강평업 모고임? 우기분 대신임? 파이널 이거만함? 0
해시태그에서 느껴지는 강민철의 몸부림
-
의치약수수 가 됩니다 의대 치대 약대 수의대 수리과학부(...) 종종 수리과학부랑...
-
개념 기출 강의 이후로 예정된 커리를 진행하지 않고 잠수탔다가 6월 말쯤에 공지에...
-
하루 2-3시간 공부 투입 9모까지 쌍지 11만들기 국어는 2 목표로 감유지 1주일...
-
내신 끝나고 사탐런 시작해서 개념 거의 막바지인데 모고같은거 풀어보면 도표풀때는...
-
31124 인데 얼마나 걸리려나..
-
김승리 KBS 3
현대 산문 롱폼 숏폼 둘다 보고 책으로 전문까지 봐야될까요? 아니면 영상만으로도 커버가 되나요?
-
하루에 3시간씩 푼다고 가정하면 어싸 한권 푸는 데 몇 일 몇 시간 정도 걸리시나요...
-
내신 수학 대비 0
현 고2인데 내신 수학 등급에 큰 위기감을 느껴 질문글 올립니다.. 저희 학교가...
-
욕나옴 이게 어느 수준까지는 괜찮거든?? 1등급 찍고 나면 진짜 욕나오는 상황이 생김
-
불만 없지?
-
안녕하세요 더프처럼 응시하면 성적산출해주는 모의고사들중 개인이 구매할 수 있는게 뭐뭐있나요??. ㅜ
-
https://youtube.com/channel/UCIffEekSVRDzybE_pA...
-
이지영 개념강의 현돌 기시감(기출) 이 2개만해도 될까요?? 2년전 수능 1등급이고...
-
"평생 날씬하고 치매 없는 아이로 고를게요"…부자 위한 '슈퍼베이비' 논란 4
미국 실리콘밸리의 한 생명과학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배아 유전체 검사 서비스가 과학을...
-
5덮 90 6모 87 7덮 89 이감 5-1 78 이감5-2 63..???????...
-
언매 : 전형태 올인원 인강 수학 : 시발점 수2, 학교 부교재, 마더텅, rpm...
-
CC에 설수리 이거 가능한거임? 언백적백 탐구 각각 1틀정도면 이거 됨?
-
다 들어야 되나요?? 아니면 시간없으면 개념만 들어도 되나요?? 아시는분???
-
스벅에서 씹덕 어나클을 피면 인식 평균이 낮아짐 ㅇㅇ 더불어 평균 외모도 낮아짐 ㅇㅇ..
-
공부 언제함?? 대학생이면 학교 언제감….?
-
난이도 어떤가요? 혹시 등급 컷 알고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7덮 국어 3
7월더프 언매 94면 백분위 몇나옴? 백분위까진 안나오나??
-
친구가 안푼다고 수1수2 공짜로 받앗는데 이거로 다시 한번 돌리는거 ㄱㅊ나여?
-
국어능력 퇴화 3
사설에 연연하면 안더는거 아는데 너무 불안해서요.. 수학을 못해서 국어라도...
-
옛날 신문기사를 보다가 고려대병원이 혜화역 인근에 있었네요.정확히 말하면...
-
허들링 vod 2
지금 범준쌤 현강생인데 파이널때 들어가서 허들링을 안들었는데 vod 사서...
-
그래도 조금은 하나용.... 뭔가 시간표에 영어 끼워넣기가 좀 애매하고 자료도 없고...
-
교재만도 따로 팔길래 교재만 사서볼까 하는데 꼭 강의까지 듣는게 좋은가요? 강의까지...
-
담임쌤이 정시하는 애들 거의 대부분이 약술을 꼭 쓴다고 너도 성적 불안정하면...
-
걍 한개 두개 틀리는게 너무 큼 방금 7덮국어 풀었는디 독서1 문학 1 해서 95임...
-
머해야되나요 사실 영어공부를 유기하긴했어요.. 단어만 매일 외우는중 순서삽입 젤...
-
이면 많이 유리해지는건가요? 아님 horse나cow나 다 1이어서 크게 의미 없나요?
-
댄스 두야라 댄스 듀야라
-
김현우쌤 서바 합류 ㅎ했는데 전국서바만 주고 그냥 서바는 안주시는데 모든 쌤들 다 그런가요?
-
더러운 이야기 1
늦잠자서 논술학원에서 전화받고 부랴부랴 택시타고 나가는데 택시에서 20분동안 똥...
-
몰랐는데 의약품 시장이 진짜 크네요 스위스 시가총액 top 기업들 다 제약회사던데...
-
강 k, 시대 0
모의고사 해설 현장에서 들으면 얼마정도해요?
-
서너살도 아니고 10년은 더 라떼 되시겠네 ㄷㄷㄷ 학력고사 이야기 술술 푸시는 걸...
-
얼버기 2
-
일본어공부해야지 2
-
feat. 감자까앙 오늘 20학번 선배랑 밥약 갔다옴
-
올 초까지만 해도 가장 자신있던게 수학이고 가장 자신없던게 국어인데 어느새 국어가...
-
투표 0
.
-
언매 미적 생윤 사문 96 92 1 98 94 문과 어디 가능할까요
-
두과목중 뭐가ㅜ현강 이점이 큰가요? 일단 지금 고2 이고 물지 할거에요. 물리는...
크럭스 들어가셨구나 ㄷㄷ
글 되게 재미있네요 ㅋㅋ 대종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