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능수학만점이 수학을 잘 못할 수 밖에 없는 이유 [5만 덕코 선착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76617
안녕하세요 Team BLANK입니다.
오랜만에 칼럼 아닌 칼럼을 적어보겠습니다.
(제목 어그로 죄송합니다.)
저희 팀원들은 모두 수학을 만점을 받아보았다는 교집합이 있습니다.
가끔 만나서 '어떻게 하면 수학 "점수"를 잘 받을 수 있을까?' 에 대하여 얘기를 하곤 합니다.
(수능수학 '점수 잘 받기'와 '수학 잘하기'는 조금 다릅니다. 두 카테고리를 동치로 놓으면 수학과 재학생들이 싫어합니다ㅎㅎ..)
1. 개념 이해
학생들을 가르쳐보거나, 해설을 쓸 때 학생들이 왜 문제를 틀리는지에 대해서 심도있는 고민을 거친 후 작성할 때
대다수의 학생들이 '개념' 자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말 정말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개념을 모른다는 말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함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한다를 어떻게 이해하고 계시나요? 혹은 미분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계신가요?
위와 같이 정의에 입각하여 알고 계신다면 최고입니다. (모든 오르비 회원분들이 이렇게 알고 계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20학년 9월 30번 문항입니다.
이 문항을 바라볼 때 어떤 개념들이 쓰였을까요?
물론 현장에서 뭐 예를 들면 "이 문항은 특정 어떤 개념을 썼네? 그 개념을 토대로 문제를 바라보자."따위의 생각을 할 수는 없을겁니다.
다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이 단순히 f(7)이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라는 문장을 주었으니 주어진 방정식을 잘 조작하면 풀리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현장에서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은
아예 다른 결과를 낳을 수도 있는 사고입니다.
이 문제의 핵심은 주어진 방정식을 잘 적분하기, 미분하기 따위가 아니라
"항등식이니까 조건을 어떻게 한 번 잘 비벼볼까?"가 핵심이라고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려운 수학문제가 마치 퍼즐문제처럼 바뀌죠. (그것도 정답이라는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말이죠.)
뭐 숫자 조작이 낯설었던 학생분들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겠지만은 '조작을 잘하자.' 라는 목적성이 이미 명확한 이상 오답으로 향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불가능에 수렴합니다.)
따라서 미분가능성, 평균값 정리, 극대/극소 , 최대/최소, 항등식 등 고루고루 해당 개념이 어떻게 서술돼있는지 암기가 돼있어야합니다.
2. 직관
작년에 저희가 칼럼을 쓸 때, 직관을 싫어하시는 분들이 계셨던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희의 가치관은 변하지 않습니다.
특수한 순간이 아닌 부분을 왜 관찰을 해야하나요?
문제를 출제하는 사람들도 특수한 순간을 가정하고 문제를 만드는데, 어째서 푸는 사람은 일반적인 사례들부터 관찰한 후 정답으로 가야하나요?
논문을 쓰는 것도 아니고, '정답'만 찾아내면 되는 과정에서 '직관'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문항은 수능문항입니다.
이 문항을 '논리적'으로 풀어보십시오.
제 생각에는 해당 문항을 '논리적'으로 푸신 분은 거의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문항을 논리적으로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문항은 박우정 강사님의 풀이를 인용한 것입니다.)
아래는 현실적인 풀이입니다. (직관적인 풀이)
위와 같은 이유들로 인하여 전 직관적인 풀이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수능수학 점수를 잘받기 위해서 공부를 하는 것이지, 수학 자체에 대한 능력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면요.
이러한 직관은
1. 문제가 무슨 상황인지 이해하고
2. 문제에 쓰인 개념이 무엇인지 또한 이해해야
3. 비로소 해당 상황에서 어떤 경우가 가장 특수할지를 생각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1 -> 2 -> 3 의 순서도를 저희 머릿 속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있는 그대로 정말 가감없이 1인칭으로 써놓은 책이
저희가 집필한 BLANK 수학 기출문제집이라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저희 책에서는 무조건 정답을 가정하고 해설을 하지 않습니다. (사후적인 해설을 지양합니다.)
저희도 100 문항 갖다 놓으면 100문항 다 맞을 수는 없겠죠. (저희 모두 솔직하게 인정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맞춰냅니다.
그래서 틀린 풀이로 향하다가도 뭔가 조건과 모순이 있으면 다시 점검하여 정답으로 향하는 풀이를
있는 그대로 전부 서술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1. 개념
2. 직관
두 개의 카테고리를 다루어 보았습니다.
+ 저희 책의 실물입니다.
추가로 저희가 2025 9월 모의고사 30번을 적중했다고 합니다...!
저희도 몰랐었습니다.
현재 다들 정말 바빠서 사실 활동이 많이 뜸했었는데
우연히 유튜브를 보다가
저희가 작년에 배포한 실모 30번과 작년 9월 모의고사 30번이 완전 동일하다라고 하신 강사분이 계십니다.
정말 9모 30번과 완전 똑같다고 하는데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여러분들도 풀어보시고 어떤지 댓글 남겨주세요!
[작년 9월 대비 Team BLANK 실전 모의고사]
https://orbi.kr/00069027517/%5B%EC%8B%A4%EB%AA%A8%20%EC%B2%A8%EB%B6%80%5D%20Team%20BLANK%209%EC%9B%94%20%EB%AA%A8%EC%9D%98%EA%B3%A0%EC%82%AC%EC%9E%85%EB%8B%88%EB%8B%A4
댓글과 좋아요를 눌러주신 분들께 랜덤으로 5만 코인을 드리겠습니다!
다들 좋아요와 댓글 한 번씩만 부탁드립니다ㅎㅎ
감사합니다.
Team BLANK 드림.
BLANK 수학 기출 문제집 구매링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해 ㅎㅎ...
-
다 들었으면 출발
-
본인도 1등해봄 3
중2때 사회 100점 받아봄 반에서 1등 먹음 담임도 사회쌤이었음 어서 칭찬하거라 캬캬
-
마감 찬거 다아는데 아놔
-
애초부터 8
차단해서 아예 안보였군
-
연애하면되지ㅉㅉ
-
학원에 이거 똑디인 애가 있음 내 심장이 뜀
-
못토챤토잇테요 2
와스레나요 메모니 시테요
-
수학에 8시간씩 박을자신있습니다 물론 9월 중순까지 ㅎㅎㅎ
-
어케 참는데
-
갸 쉬운 거였는데 별표치고 강의까지 찾아본 내가 한심해서 암것도 하기 싫어졌어
-
그때 한 1컷 실력이었는데도 마냥 쉽진않았음
-
ebs 10
고전만 파면 되지 않을까 그러면 부담이 적어질거 같은데 사실 여기가 연계체감이 제일...
-
1.재입대 2.고래사냥 3.번지점프 뭐든 한다...
-
아 졸려 0
이제 방학임
-
이해원 나오네 1
바로 사서 풀어야지 시즌1 딱 이번 더프 13 21같은 문제들 ㅈㄴ많음 기출냄새 좀...
-
연애할 수 있을까
-
평가원 수학 1등급 경험 존재하는 분 위주로 베타태스터 모집합니다. 토요일부터...
-
n티켓 1
김범준 듣다가 스블 유기하고 n티켓 듣는데 막 당연한것도 겁나 하루종일 알려주고...
-
시대인재 리부트 1
시대인재 리부트 난이도 어떰
-
KBS 1
수특도 많이 남았는데 어떡하지
-
수문장 역할인 4규랑 n티켓도 막상 엄청나게 쉽지는 않음 3~4등급 입장에선 이것도 빡빡해..
-
국어가 뭔가 2
언매랑 독서는 양치기 하면 오르는거 같은데 문학은 진짜 잘 모르겠음 ㅋㅋ.. 실력이...
-
28수능 0
정시 메디컬 노리는데 28수능 부터는 무조건 내신반영인가요? 얼마나 반영되는지 아시는분 있으실까요
-
지구 하면서 내가 발견한것 (feat.엘리뇨와 라니냐) 1
동태평양, 물과 관련된 것: 엘리뇨일때 + (단, 용승은 예외) 동태평양, 물과...
-
올해 엔티켓은 비추.. 특히 시즌1 수1은 생각했던거 보다 너무어려웠어서 벽느꼈음
-
ㅈㄱㄴ
-
으하하
-
국어임
-
기출+n제 병행하려는데 진짜 입문수준은 뭐푸는게 제일 좋아요? 3초반 기출 계속 같이 병행할거임..
-
2020년에 오르비에서 봤는데 ㅋㅋㅋㅋ 현강 안가도 파이널 기간이라는게 실감되네요
-
기특하당!!!!!!!!!!!등차수열에의하면 다음학기는 1.8이다(공차0.52ㅎ)
-
나도 정답률 꽤 괜찮게 나오는거 같은데 다들 얘기하는 매운맛은 극후반이겠지
-
지금은 국수만 다님
-
같이 머거야짐
-
드릴6 수2하다가 함수극한까지는 풀만했는데 미분 파트 도저히 안 풀리는데 오래 잡고...
-
하원 4
오늘은 예비군 간다고 좀 늦게 등원햇네요 ㅋㅋ 다들 고생하셧습니다
-
그게나야 둠빠두빠두비두밥 개념 다까먹어서 다시 정주행중
-
아뱃지언제와 2
오르비연중무휴인가요 주말지나야 오나
-
N제 투표좀 4
미적임
-
경제 배송오자마자 재배송 공지 ㅋㅋ
-
수2 2
맞아서 자랑ㅎ
-
원점 생각을못했는데 이거 대칭적으로 원위에있으니까 꼭 저거 사용안해도 풀리는거아닌가
-
담배 피는 사람은 15
보면 성인 때 시작하는 경우는 거의 못본거 같기도 이미 전부터 학생때부터 피던...
-
수열은 정복 못할거같음....
-
경찰대 준비랑 6모준비 어쩌고 저쩌고로 지금 2달째 확통 유기중 개념도 다까먹음...
-
672를 타야되는데 602를 타서 이상한 다리 한복판에 갇혀버렸네 하 ㅋㅋㅋ 집에...
-
반수하느라 감 다 죽어서 그냥 하고 있는데 시작한지 3주 넘어서 이제 슬슬...
-
님들 담배 핌? 10
처음엔 뭐펴야함
-
야식 먹어도 괜찮나요 10
추추합
수능수학 '점수 잘 받기'와 '수학 잘하기'는 조금 다릅니다. 두 카테고리를 동치로 놓으면 수학과 재학생들이 싫어합니다ㅎㅎ..
헉!
사실 학생분들이 대학교에 가셔서 수학 definition과 lemma와 corollary 들의 설명을 보시면 온통 motivation밖에 없다는 걸 알 수 있을텐데 수능에서는 이런 얘기를 못하고 필연성같은 것에만 의존해야해서 다소 아쉽긴 합니다ㅎㅎ..
좋은글 감사합니다
행님 미적 ㅂㄹㅋ에 가형 킬러도 있어요?
네네 4점 전문항 수록입니다
실제로 링크 들어가보니 형태가 유사한 것 같아 보이네요. 2025 9모 30번이랑 점근선 아이디어 비슷한게 신기합니다! (+) 혹시 수학 전공자이신가요? 어디서 문제 잘 내는 분들은 수학 전공자가 많다는 말을 들어서...
저는 수학과인데 문제 만든 분은 장시인님이십니다. 저희도 놀랐어요ㅎㅎ
몇 개년 전문항인가요??
2017년도부터 2025년까지 문항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