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단어 공부 해야 할까? 말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48375
국어 단어 공부 해야 할까? 말까?
이미 7월인데 단어 공부를 해야 할까요? 네 그렇습니다. 지금이라도 반드시 단어 공부를 해야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직 고2라면? 해야 합니다.
실화를 말씀드립니다. 국어가 현역 때 3등급, 재수 4등급에 3반수를 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다른 과목은 거의 1등급) 국어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 6월 모평에서도 4등급을 받았습니다. 심기일전해서 공부법을 바꾸고 9월을 봤더니 5등급. “도대체 내가 뭘 안한 걸까?”라며 유명 강사들의 이야기를 동영상으로 찾아봤더니 어휘력이 중요한데 자신은 어휘력 학습을 한 적이 없다는 걸 깨달았답니다. ‘채권’, ‘을씨년스럽다’는 단어를 봐도 의미가 와 닿지 않았다는 사연자... 그때부터 60일간 미친 듯이 단어공부를 해서 마침내 수능에서 1등급을 받았습니다.
저는 왜 단어공부를 해야 하는지 설명을 하겠습니다. 특히 아무리 공부해도 국어성적이 오르지 않는 사람이라면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기를 바랍니다.
흔히 어휘력은 단어를 많이 아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어휘력이 나쁘고, 모르는 단어가 없으면 어휘력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한 단어를 아는 건 수준(level)이 있습니다. 설문조사에서 [매우 그렇다-그렇다-보통이다-아니다-전혀 아니다] 이런 것 보신 적 있죠? 단어를 아는 건 [안다-모른다]가 아니라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매우 잘 안다-잘 안다-안다-잘 모른다-전혀 모른다]
매우 잘 안다-----------------------------전혀 모른다
사전적 의미를 모두 앎-일부(기본 의미)만 앎-쉬운 단어로 대체-모름/잘못 앎
맥락에 맞게 의미를 적용--사전적 의미 가운데 선택--마음속에서 쉬운 단어로 대체--안본 눈
이렇게 ‘아는 정도’를 세밀하게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좌측은 독해에 큰 도움을 주는 반면 우측은 독해를 어렵게 만듭니다. 그러면 가운데는 어떨까요? 이정도면 괜찮을까요? 아닙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 건 바로 어중간하게 아는 가운데 단어입니다. 사전적 의미를 충분히, 명확히 알지 못하는 단어들. 얘네들이 가장 문제입니다. 대충 아는 단어는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닌 것 같지요.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거나 낯선 내용이라서 아슬아슬하게 이해하는 문장에 저런 단어가 하나 있으면 결정타가 됩니다.
전혀 모르는 단어는 눈에 띄기 때문에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어느 정도 아는 단어는 잘 아는 줄 알고 그냥 넘어가기 쉽습니다. 눈으로는 익숙하지만 사실은 머릿속으로는 별로 떠오르는 게 없어 문장 이해를 망가뜨리는 주범입니다.
아무도 말하지 않는 한 가지를 더 이야기하겠습니다. 실제 글을 읽는 동안 단어의 의미를 인지적으로 처리하는 속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한 문장은 여러 단어로 구성됩니다. 읽을 때 각 어절(단어)에 얼마나 시간을 할애할까요? 단어에 주목할 수 있는 시간은 매우 짧습니다. 따라서 짧은 시간 안에 의미를 떠올리거나 적절한 의미를 찾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매우 잘 아는 단어라도 빨리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면 모르는 단어와 다르지 않습니다.
어휘력이란, ‘단어에 관한 지식을 얼마나 가졌는가’, ‘단어를 얼마나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가’를 말합니다. 아래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A.
단어지식수준이 높지만 단어처리속도가 낮은 사람. 단어 사용 빈도가 높지 않아(독서량이 적거나 단어에 주목하지 않고 글을 읽는 사람) 신속하게 단어를 처리하지 못한다. 따라서 알고 있는 단어지식을 글 이해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함. 시간을 다퉈 빨리 읽어야 할 때 A의 단어들은 부담을 준다. 글 이해를 를위한 어휘력이 좋지 않음. 단어시험용 어휘력임.
C.
단어지식수준이 낮으나 단어처리속도는 높은 사람. 주로 어렸을 때 익힌 쉬운 단어들만 알거나 쉬운 뜻만 아는 경우. 예를 들어, ‘경계’라는 단어를 알지만 ①의 뜻만 잘 알고 있다. 그래서 ②의 뜻인 아래 문장은 이해가 분명하지 않거나 이해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린다. 일상대화용 어휘력.
①어떤 지역과 다른 지역 사이에 일정한 기준으로 구별되는 한계.
②기존 지식·문화·권력의 한계를 구분 짓는 선.
학제 간 연구는 학문적 경계를 허물어 혁신적인 통찰을 이끌어낸다.
B.
단어지식수준과 단어처리속도가 높은 사람. 단어처리 시간이 짧아서 문장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때 그것에 집중할 여유가 있음. 진정으로 어휘력이 좋은 사람.
바로 다음 글에서는 단어지식 수준을 높이는 단어 학습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이후 내용
- 단어 처리속도를 높이는 단어 학습법(1, 2, 3...)
- 어휘력이 간접적으로 문장 이해를 어렵게 하는 경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왜 내 글 안 뜸
-
생윤이 나에게 6모때 선사해준 만표 75를 잊을 수가 없네… 돌아와 생윤아 너는...
-
보잉 B -29 슈퍼포트리스 폭격기
-
ㄹㅇ
-
동생 고등학교 배정 땜에 아직 중2지만 미리 외가로 옮기려고 할머니 할아버지께...
-
빨리 사문으러 튀는게 맞나?? 생윤 이 좆같은것 들인 시간 아까워서 버리기 힘들다...
-
감상하는 학생은 쉽게 풀지만 아니면 뭔 소린지도 모르는
-
타지역에서 학교다니고 있는데 좆됬습니다 지금 학원 갈려고 준비했는데 난리나서.....
-
ㅠㅠ
-
정상은아니지
-
뭔말인지 알거 같음 이거 개사기네 아는만큼 보인다
-
배성민 개념 + 기출하고 n제 좀 풀다가 최근에 다시 기출하려고 원솔멀텍 하는...
-
6시간 했는데도 대가리 아프다 저능아라서 미치겠다 진짜
-
예상외네욤,, 3일만에 너무 많은걸 봐버렸어..
-
강케이국어어떰뇨 8
그냥 이감만 할까여 흠
-
통합수능중에서 그래도 제일 쉬운 시험지인거같은데 갠적으로 24>23>=25>22라 생각해서
-
전유관이라는데 본명이 그럼 본명이... 전손흥민이못한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국어 현대소설 0
할매턴우즈보다 2016 고3 10월 교육청 서정인 "강" 이 더 어려운느낌.. 얘는...
-
저는 딱히 안하고 이매진만 풀고 있음 이게 하고 있는거임??
-
운도 없구나 운도 ㅋㅋ
-
ㅈㄱㄴ
-
MZ 안 할래
-
머가리가 개느리고 실수가 잦음
-
폭우 미쳤네 6시에 아빠가 안 데리러 왔으면....ㄷㄷㄷㄷ 스카에 있던 사람들...
-
시대 재종생 서바시작했는데 서바 보는것도 힘들고 요즘 너무 지치고 의욕도 떨어지고...
-
ㅈㄴ 스트레스 받아하는데 옆집 여자 못생겼냐고 물어보니까 예쁘긴 하다고 남자 많게...
-
이게 좋나 애니 존나 그림체도 그렇고 어린이용 감성인데
-
이 이모티콘 너무 좋은 것 같아요 보면 마음이 따뜻해지는 느낌!!!
-
(새로운 것을 설명한 후) 모른다고? 너도 범재다 어떤 기본적이거나 친숙한 거...
-
민지 사진들 1
청순 컨셉도 좋은데 이런 컨셉도 좋음
-
실모 5개랑 아폴로 3권
-
10 11 12 13 20 폭탄인데 여기 수월하게ㅜ넘길실력이면 쉽고 아니면 어려운거지…
-
언제나온거임? 이틀 됨?
-
지원가능 대락라인이 보정했을때 백분위인가요 무보정일때의 백분위인가요?
-
무물보 10
-
민지야~ 0
개 이뻐
-
ㅎㅎ 생명 질문도 받아요 작수 2등급-> 올해 본 모든 생명 1등급, 재종 등록 후...
-
생일 선물 너무 정성들여 준비해 줘서 찐 감동받음 생일 전후로 안 좋은 일만...
-
연옥연옥 통일연세 연옥연옥 통일연세
-
출제가 안되나? 아니면 평가원에서 지양하는 바인가? 사실 과조건도 어떻게보면 변별의...
-
맨날 책상에서 왼쪽얼굴베고 자서그런가 얼굴 비대칭 ㅈ되네
-
오늘부터 2
야식 안 먹을거임 그래서 내잏 먹을거 사왔어
-
언젠가 꼭 다시 활동해줘
-
단 하나의 깃털도 남기지 말고
-
노래조으다 3
카더가든노래오랜만에듣는데 진짜 좋네…
-
제2 의 노무현 3
나올수잇을까
-
네임밸류가 크지 않지만 하나도 안팔릴 만큼이 아닌데 붱모 응애모 미만 배포모들보다...
-
잇몸의 몸은 어원적으로는 '몸(體)'이 아니지만 옛형태의 어원 의식이 사라지면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