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칸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45475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만이 도덕적 의무의 대상인가?
이거 제가 생각하기에는 X인데 맞나요? 의무의 대상이 아니라 의무를 가질 수 있는 대상인 거 같은데
사탐 이원준 서프 커넥션 생윤 헬스터디 허들링 설맞이 지인선 오르새 한완기 박석준 수의대 수학 기출 ㅇ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싹오싹이야기
-
뉴분감 해도 괜찮을까요? 많이 늦은거같아서..
-
얼버기 2
목아프다..선풍기 너무 셌나
-
누적 10시간 50분
-
전일대비 +1.2kg
-
이명학모고 0
이명학 insight모고 풀어봤는데 난이도 어떤가요? 원래 2는 뜨는데 이거는 3이...
-
가장 개같은 상황 11
궁금하다 ㅋㅋㅋ
-
스무살이니까 이렇게 노는 거라 배움
-
이정도면 10퍼이상 빠지려나
-
드릴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n제 중에선 중간 난도 같음 드릴보다 어려운 게 넘 많아
-
도표 특강 님들아 열역학 특강 이러면서 따로 강의 열고 열역학 교재 만들면 비웃을거잖음…
-
내가 치과를 가야한다니 으아아아악
-
저 단어가 저능해 보인다는 말이겠지...?
-
한국사 쉬우면 1,2 나오는데 조금만 어렵게 나와도 좀 틀려요.. 저번에 한번 5...
-
뭐하지 0
흐음..
-
가사가 좋습니다
-
성인되고나선 조절 잘하게됨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는 인간이고
칸트는 인간만이 도덕적 의무의 대상이라고 봣으니까 맞눈 거 아닌가여? 저두 확실하진 않숩니당..
맞습니다
칸트의 도덕적 의무는 보편화된 정언명령에 따른 즉, 이성적 행위자의 보편적 정언명령에서 비롯된 의무이기때문에
의무를 지닐 수 있는 존재는 이성적 존재,인간으로서 한정됩니다.
이에따라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인간이 도덕적 의무의 대상이되는 것이며, 인간만이 도덕적 의무에 대한 직접적 대상이됩니다. 반면 동물과 같은 비이성적 존재들에대한 직접적 의무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성적 존재자가 동물과 관련한 즉 간접적 의무만을 지게 됩니다.
따라서 인간은 직접적 의무에대한 대상이되며 동물은 의무에대한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cucuzz&logNo=222507323465&referrerCode=0&searchKeyword=%EC%B9%B8%ED%8A%B8%20%EC%9D%98%EB%AC%B4%EC%9D%98%20%EB%8C%80%EC%83%81
현돌쌤 글 참고 ㄱㄱ
인간만이 도덕적 의무에 대한 대상이 맞습니다
모든 도덕적 의무는 인간만을 위한거고,
의무들이 동식물, 생태계와 관련될 순 있지만 그게 그것들 때문인 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