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계 부호 안주면 음수부터 점검하는게 합리적이라는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583136
그 근거가 뭐임
등비수열 공비처럼 문제내기 좋은 상황이 되는것도 아니고
계수가 음수인 상황은 양수인 상황이랑 완전히 대칭인데
출제자 입장에서 문제를 만들다보면 그렇게 되는 경향이 있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생에서 가장 쓸모없는거 3 3
후회하기
-
한지 세지 5 0
중에 노베면 뭐가 더 나을까요 ? ㅠ 최대한 만점 목표입니다 ㅜ 지구에서 넘어왔습니다 ㅠㅠ
-
ㅎㅎ......
-
엄마가 너무 이쁘면 어케해야함 11 1
내입으로 말하긴 그렇지만 우리엄마 진짜 이쁘긴 함 얼굴도 작고 어디가도 그나이처럼...
-
독재인데 담임쌤이 ebs수특수완 2회독 강요함 ㅠㅠ 7 0
안녕하세요 6모 국어 4등급 나왔고 김동욱T 일클+연필통 하고있습니다 하루에...
-
경희랑 중앙은 과탐가산 개크네 4 1
성대도크고
-
애 낳고 싶은데 8 2
내 아이를 미래의 대한민국에서 살게 하는거 자체로 죄 짓는 것 같고 미안할 거 같음
-
생2쉽다며. 15 2
제한효소 어렵잖아.
-
님들 나 축하좀 4 0
올해 순공시간 총 300시간 달성함
-
이거 어려운 거임요? 2 1
,
-
디맥개어렵다 5 0
화면으로만 보면 뱅드림 프로세카가 훨씬 어려워보이는데 키보드로 하는거랑 직접 노트...
-
동아시아사 자작문항(수특 직접 연계) 21 0
동사 자작(수특 반영)문항입니다 첫정 500덕 드리고 찍맞 방지를 위해 간단해설이나...
-
공대는 모르겠고 수학, 컴퓨터는 필요 없지않나...
-
다시금 날 봐줘요 2 2
그대 기나긴 투정도 모두 들어드릴게요
-
평가원 역대 국어 오답률 1위 문제가 어떤건가요?? 3 0
제가 본 것중 가장 충격적으로 낮았던건 이중차분법지문에 오답률 80후반대...
-
ㄹㅇ 애는 둘이나 셋이 가장나을듯 넷은 좀 많긴하고
-
오르비를 참 좋아하지만.. 18 7
온갖 혐오에 찬 사람이나, 글에 구라밖에 묻어 나오지 않는 사람, 선을 못지키는...
귀납적 추론인듯
최계 안줬는데 양수라고 착각하고 푸는 애들이 많음
평가원에서 그런것도 저격하려나
sky이론
그거 영상 봤는데 근거가 좀 불충분하다고 생각함
자연수였으면 자연수라고 줬을것이다?
그럼 반대로 음의정수였으면 음의정수라고 줬겠죠
양수음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다른조건만으로 케이스가 결정이 되느냐 안되느냐가 중요한거고
되면 굳이 과조건 안만들려고 정수라고 준거고
안되면 안되니까 조건 추가해서 자연수라고 준게 일반적이고 간혹 케이스가 너무 많아서 줄여주려고 과조건을 줄 수는 있겠지만 그것만으로는 불충분한 것 같네요
출제 데이터 베이스에 기반한 확률
평가원 기출에서 통계적으로 음수인 케이스가 더 많음?
모 강사가 그렇다고 했음
구체적으로 어느정도 비중인지 알고싶은데 직접 찾아보긴 너무 귀찮은데
말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학생들이 무의식적으로 최고차항 양수만 생각하는 경우가 꽤 있으니까 음수부터 들어가는 걸 의식화하면 이런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고 해석하면 되는거 아님?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넘기면 되지
님은 수학을 잘하시니까 이런게 납득 안될수도 있지만
그런의미로 얘기하는사람 거의없는거같던데
그리고 전 그냥 궁금한거임 지금껏 그렇게 생각하고 풀어서 효용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는데 만약 실제로 음수인 케이스가 더 많고 그렇게 들어가는게 유리하면 남들 다 음수부터 볼때 저만 손해보고 들어가는 거잖음 그리고 저 수학 못함
발문차이땜에 그런거 아닌가 싶어요
보통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양수인) 삼차함수를 발문 처음에 박고 시작하니까
근데 그냥 삼차함수 f(x) 이러면 (제기억상 220622) 음수부터 해보는게 맞나 (단정은 아님) 생각이 들긴 합니다
합리적 의심이 들기도 하고 보통 기출에서 음수였던걸로 기억
대부분 그냥 최고차항 계수를 양수로 두고 그래프 그려보면서 푸는 애들이 많은데 그렇게 해서 바로 풀려버리면 계수 부호 안준게 의미가 없어지니까 출제자 입장에선 그게 맘에 안 들 수밖에 없음
그냥 양수로 해서 그게 맞아버리면 최고차항 계수 부호가 뭘지 고민을 한 학생이 그냥 생각없이 양수로 둔 학생보다 더 손해를 봐버리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이런 건 최고차항계수부호 같은거 뿐만이 아니라 다른 데에서도 비슷한 예시들이 매우 많음 출제자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이상한 일은 아님
근데 그렇게생각하면 삼차함수 케이스 뒤져보는것도 항상 극값 안갖는 경우까지 고려해봐야 하는데 극값 갖는다고 조건 안줘도 항상 극값 존재하는 경우가 답이잖음
사차함수도 변곡점 안갖는경우까지 고려해봐야 하는데 꼭항상 변곡점 갖는경우만 나오고
이러면 극값존재여부 변곡점존재여부까지 꼼꼼하게 뒤져보는 사람한테 불리하게 문제를 내고있는거 아님?
최고차항의 계수는 그냥 양수 아니면 음수 반반이지만
님이 말한건 그냥 함수 자체가 원래 대부분이 그런 거잖음
또 그래야지 복잡한 문제 조건을 맞출 수가 있는거고
그거랑은 좀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