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재밌는 비누 이야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70085
'비누'라고 불리는 오늘날의 서구의 문물이 수입되기 이전, '비노'로 불리던 전통적인 비누는 팥이나 녹두 등의 콩류나 쌀 등의 곡류를 맷돌로 갈아 껍질을 벗기고 다시 곱게 갈아 체에 쳐서 만든 가루 형태의 세정제였음. 당시 문헌에서는 '비조(肥皂)', '조두(澡豆)' 등의 한자어로도 표기되었음.
그런데 19세기 말부터 서구와 일본의 신식 비누가 전래되는데, 이 때문에 원래 콩류나 곡류를 갈아 세안을 하던 조선인들의 문화가 바뀌어 버림. 유지(油脂)에 수산화나트륨을 섞은 뒤 굳혀 만든 서구식 비누가 수입된 거지. 새로운 문물인 고체 비누가 들어오자, 기존 단어인 '비누'가 이 신식 비누까지 포괄하여 지칭하는 의미 확장이 일어남. 그래서 개항 초기 자료들을 보면 서구식 비누를 '비누' 내지는 '肥皂'로 표기함.
근데 이 '비누' 말고 석감(石鹼)도 개항 초기에는 자주 쓰였는데 '석감'은 일본에서 만든 신식 고체 비누를 뜻했음. 본래 일본어에서 '石鹼'은 원래 잿물을 밀가루로 굳힌 것을 뜻했지만 서구식 비누가 도입되며 의미 전이를 겪었고, 일본산 신식 비누가 국내로 수입되는 과정에서 일본어의 전이어 ‘石鹼’도 한국어에 차용된 거임. 이 때문에 고유어 근대 신어 '비누'와 일본계 차용어인 '석감'이 새로운 문물인 '고체 비누'를 두고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됨
지금에야 '비누'를 전통적인 '비누'를 말하는 데 잘 쓰이지는 않지만 20세기 초중반만 하더라도 '비누'는 근대신어로서의 용법 말고도 재래어로서의 의미를 계속 간직하고 있었음. 근데 여러 의미가 혼재되자, 의미 분화를 위한 여러 전략이 나타남. 신문물의 외래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접두사를 붙인 '왜비누(倭-)'라는 표현이 등장함. 기존의 '비누'와 구별하려는 시도였지. 또, '비누'가 점차 신식 고체 비누를 뜻하게 되자 반대로 전통 가루 비누를 구별해야 됐음. 이를 위해서 재료를 강조한 '팥비누'라는 명칭이 등장함.
20세기 전반기 신문 기사나 광고에서는 '석감'과 '비누'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매우 흔했음. 예를 들어, 제품명은 '석감'으로 표기하고 작은 글씨로 '비누'를 덧붙이는 식으로. 이러한 긴밀한 관계가 차용어 '석감'의 의미를 '비누'가 흡수하고, '비누'의 의미 이동이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음.
이 때문에 현재 국어사전에 '비누'는 신식 비누를, '팥비누'는 재래식 가루 비누를 뜻하게 된 것.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 문제 보기 ㄱ 을 보면 ㄱ은 t1 보다 크다가 정답이라는데 광원에서 p까지...
-
분명 확통보다 ㅈㄴ 어려운데 수능가면 표차 안남(이 메타면)
-
백호왈 2
생2가 생1보다 나은거같다 ㄷㄷ
-
ㅈㄴ웃기네 ㅋㅋㅋㅋㅋ
-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수시 내신 합격선 : 네이버 블로그
-
ㅈㄱㄴ
-
검사 되면 이제 민주당이 사상검증해서 짜를 수 있는거 같음
-
진지하게 이번 6평에서 국어/탐구가 너무 실망스럽다 하시는 분들은 수리논술 고민해...
-
다카라 잇쇼니와 이레나이나
-
이번에 29번은 초항이 b.2 인데 실수로 b.1 으로 놓고 계산하다가 의문사됐고...
-
6모 기록... 4
100 80 88 47 40 수학 ㅅㅂ.. 실수 너무 많이함
-
학사에서 본가로 내려왔는데 엄마가 너무 기분좋게 맞아줌 ㅎㅎ
-
쎈 vs 마더텅 or 너기출 뭐 추천하나요? 개념원리 따라가는 것도 힘들었는데 바로...
-
또 싸움? 2
그래서 왜 싸움? 내용보고 고로시할만하다 하면 흠...
-
이번 수학 20번 11
빈칸 안줬어도 다들 맞혔을거가틈? 해설강의 보니까 빈칸 없엇어도 이정도는...
-
그니까 이렇게 선택과목으로 싸우는 것도 내년이면 끝이라는 거잖아? 2
28수능이 온다 빰빰빰빰
-
이번 27번은 4
무지성 미지수 도입해서 푸는 습관 있으면 계산에서 말리기 좋은문제임?
-
배고프군 0
잇올 짐 다빼고 다른 관독으로 간드아ㅏㅏ
-
중력밀가루 6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