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6평 미스터방 보기문제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34468
이건 너무 애매한거아닌가?
김상훈 제자로서 글자에 반응했건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간낭비인가 5월정도까지만 다니려고하는디
-
노베의 221128 풀이 10 2
이때 미적 28번이랑 난이도 비슷했던듯 옳게된 28번
-
오늘따라 글이안읽히는군.... 0 0
모르는 단어가 너무많이 나오니
-
노베현역 3 0
ㅋㅋㅋ
-
큰일났다 0 0
불현듯 내가 할 공부가 졸라 많다는걸 실감해버림 ㅠ
-
ㄹㅇ 무식해보이는거 12 0
'에'랑 '의' 헷갈리는거 '에'랑 '애'는 오타의 가능성이 있는데 저거는 변명의...
-
기억나는 네임드 4 3
애오 101010 앙되 니나 화생 전북네컷 슈냥
-
국어라는 과목은 0 0
배우고싶은 학문이 있는 대학교를 가기위해서 강제로 쳐야된다는게 너무 아쉬운것 같네요...
-
사관 기출 어디서 봐요 14 1
인터넷에서 어케 보나요, 책 사야하나요
-
올해 4월 중순 워홀 신청할까 말까만 14 1
내적갈등 500번중
-
피뎁은 안써서 제외 수학 문풀? 단어암기? 필기정리? 그냥 연습장 대용이라고 생각하고 쓰나
-
출제자들이 정말 공들여서 만든게 느껴짐..
-
궁금하다
-
의대생분들 치대 가실거 아니면 제발 수능을 멈춰주셨으면 좋겠어요 37 8
3등급도 사람이에요 ㅠㅠ
일관되게 도 틀리긴 한데 다른 해설도 있어요
5번 선지에서 백주사의 시선으로 일관되게 초점화했다면, 독자는 백주사가 느낀 비참함에 공감해야하지 통쾌함을 느끼면 안된다는 설명. 왜냐하면 시선의 초점화라는 수단의 목적은 애초에 인물과 독자 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함인데, 이때 거리가 가까워지면 독자는 작중 인물의 심리에 공감하게 되고, 거리가 멀어지면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되니까요
저도 이 생각을 하긴 했는데
2번에서 맥락으로 연결짓질 못했네요ㅜ
괜찮아요 현역 때 저도 그렇게 틀렸어요ㅋㅋ
뭐 검색해보다가 댓글 보고 답글 달아요. 초점화가 일어나면 인물과 독자의 거리가 가까워지는데, 대상이 부정적 인물이면 오히려 거리가 가까워지지 않습니다. 초점화가 공감, 연민이 아닌 풍자 소설의 경우 아이러니 효과가 극대화됩니다.(나병철 선생님의 소설의 이해 보면 잘 나와요.)
미스터방이 수록된 신사고 교과서에서도 미스터방의 풍자 효과를 상황적 아이러니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상황적 아이러니는 기본적으로 상황에 대한 인물의 인식이 심하게 부조화를 일으킬 때 일어나는 아이러니로, 이러한 인물에게 초점을 둘 수록 독자는 오히려 비판적 거리를 유지합니다.
이런 부정적 인물이 심지어 1인칭 서술자가 되면 '신뢰할 수 없는 화자'라고 하죠.(채만식의 치숙이 대표적) 초점화는 거리를 '조절'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공감과 연민을 불러일으키지 않습니다. 학부 레벨에서 소설 시험때 교수님들이 많이 낚는 포인트기도 하구요.
다만, 부정적 전망을 드러내는 인물에게 초점이 맞춰져도 독자가 일말의 공감과 연민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인물은 보통 '소시민적 태도'를 드러냅니다.(작년 9평 날개 또는 수갑의 '도식') 하지만 방삼복과 백주사는 위 사항에 해당되지 않아서, 위 문항에서 독자가 통쾌함을 느낀다는 발문이 틀렸다는 해석은 적절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