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짜치게 수열 22 ㅇㅈㄹ하면 좆같을거같아.. 231122마냥 맛있는 문제 기대중
-
오르비 끄기
-
물흐르듯이 너무 자연스럽게 지나갔네
-
영어) 빈칸 추론 31번, 요약문, 장문 시간 없을 때 꿀팁 16
정말 괜히 지문 읽고 헷갈리는 것보다 '부분의 논리' 활용해서 요약문은 요약문...
-
이건 누구고름? 5
위 맨날 장난쳐서 개빡돌게 만듦. 작음. 아래 남친있음. 작음.
-
아래건 그냥 낙서 한국사 1등급 들어가겠습니다
-
올해는 뭘까 혹시 20번에 박아둔다던가 그럴 생각은 아니겠죠? 22번은 무난한...
-
성인 시험에 비해 수능은 재능의 영향이 있어도 덜하다 생각했는데 메쟈의 이상은...
-
올해 국어 잘해서 컷 별로 안내려갈거같음...개무서움
-
1회만 42고 ㄹㅇ 쭉39네 제발 목요일에 3만 뜨자...
-
응 호머할 거야 96점 개꿀~~~~
-
연습) 국어 9평 100->수능 63 무슨일이죠??? 0
물론 내얘긴아님
-
미칠것같아 4
원래 안그랬는데 노래 계속 듣다보면 수능날 국어나 탐구 시간에 노래 하이라이트...
-
이거 뭐냐 5
동생 중3 셤 기간이라 도형 문제 물어봐서 풀어봤는데 하마터면 못풀뻔 ㅋㅋ 킬캠...
총회아님?
아 안보리구나 비상임이사국인듯요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관한 일차적 책임을 지는 B는 ~ 이사국인 을국을 제외하고 긴급회의를 소집하였다. B는 모든 상임 이사국을 포함한 다수의 찬성으로 ~
안보리에서 을국 빼고 회의 소집했는데
모든 상임 이사국이 회의에서 찬성을 했다니까
을국은 비상임이사국입니다.
안보리는
임기가 2년, 1년마다 뽑는 비상임이사국 10개국과
지위가 변하지 않는 상임이사국 영, 프 러, 중, 미 5개국
총 15개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보리의 실질사항에 대한 거부권은
상임이사국만 갖습니다.
비상임 이사국은 갖지 않습니다.
비상임이사국인거까진 알고 있었는데 비상임 이사국도 거부권을 가지는 건 맞지 않나요?
상임이사국 5개국만,
실질사항에 대해서만 거부권을 가집니다
거부권과
찬성/반대에서 반대표를 던지는 것은 다릅니다
거부권은 만장일치제로서 한 국가라도 거부권을 행사하면 부결이 됩니다
찬성/반대는 찬성표 개수를 세서 15개국 중 9개국 찬성이면 가결됩니다.
반대투표권만 가지는 거였군요
안보리
절차사항 의결 정족수: 15개국 중 9개국 이상 찬성
실질사항 의결 정족수: 15개국 중 9개국 이상 찬성, 상임이사국 5개국 중 어느 한 나라도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함.
이 문제도 질문 드려요
3번 선지판단할 때
B가 미성년자일 시 가정법원의 허가를 안 받아서 입양이 무효가 되던지
성년자면 가정법원 허가 없이 친x양자로 입양할 수 있으나 친권 소멸이어서 2개 경우중 어찌되었든 틀린 선지<<로 판단하는게 맞나요
후자를 요구한 걸 겁니다
미성년자면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고 입양해야 함
근데 B 입양시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지 않았음
= B는 미성년자가 아님
= B에 대한 친권 존재 X
= 갑과 병은 B에 대한 친권 가지지 X
비상임이사국 임기가 2년인데 1년마다 뽑는다는 것은
5개국씩 뽑아서 그렇습니다
홀수년도에 5개국 뽑고 -> 2년 동안 함
짝수년도에 5개국 뽑고 -> 2년 동안 함
이런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