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리바 3권 다풀었다하히히
-
여자한테 먼저 잘해주지 마셈. 주갤러마냥 여성을 혐오하라는게 아니라 '먼저'...
-
오빠라는 단어 7
magic word에요 오빠라고 부르면 더 좋은건가..?
-
여기 2점짜리 하나 틀리면 백분위 막 4씩 내려감;;
-
박종민T 시즌2 3
박종민T 시즌2 vod 사서 보려고 하는데 6모 공통 2틀 통통이가 쳐낼 수 있는 난이도인가요..?
-
이번 모의고사는 1등급 학생들 4~5% 기준으로 만들었습니다. 택도없이 어렵거나...
-
ㅈ도ㅒㅛ다
-
티젠 결승이다 2
내일 오전에 여는 치킨집이 잇나
-
흐흐 재밌겠다
-
수학 9~12번 난이도를 모아둔 기출 문제집 있나요? 2
그나마 어삼쉬사가 비슷할까요?
-
씨발ㅋㅋㅋㅋㅋ ㅈ같다 진짜 잘 쓰고 있었는데 강제로 바꿔야되네
-
에어컨 복지 최고ㅋㅋㅋ
-
13-15시에 문앞에 두고간다네 뭐임
-
꿈,희망,목표
-
제곧네 88~92를 꾸준히 오가는 상태입니다 근데 문제는 틀리는 게 15 21 22...
-
노프사되니까 10
분탕치는거같다 맘에들어
-
점심 뭐먹지 24
뭘 먹긴해야되는데
-
막 학생들한테 실모 숙제로 나눠주는 분도 계시던데 보통 본인이 구매해서 주는건가요...
-
수2는 무난무난하게 day당 보통 1-2개 정도 틀렸는데 수1에선 보통 2개, 최대...
-
안녕하세요! 이투스 이승후선생님 연구소 GT SCIENCE ZONE입니다! 여러분은...
-
기존쎄 황소고집 머리 물기 현란판 펜 돌리기 입시 대화 주제 나이
-
언매러야 거기 가서는 잘 살아야한다~
-
물리 n제 추천 1
n제는 플랜b 역학밖에 안풀어봤는데 좀 쉽다고 느꼈어요 모고는 만년 2등급임.....
-
실모도 안 나왔고 평가원 교육청은 다 풀었고..
-
국어 사문 생명 풀었는데 벌써 점심시간
-
언매확통사탐기준 가군나군다군 가장 높게쓸수잇는곳이어디임 2
ㅈㄱㄴ 만점맞으년 어디써야하는지 망상중
-
아 감기걸림.. 1
...
-
1. 국어 2 + 적백 2. 국어 1 + 미적 92 (단, 국어는 둘 다 컷에 걸쳤다고 가정한다)
-
165정도 되는 남자 20
너무 귀여움
-
지문부터 선지까지 싹 다 너무 좋다
-
으흐흐 일해보자~~
-
적백 받고싶다 5
진짜 개사기긴하네 내 약점과목 상쇄시켜줄텐데
-
ㅠ
-
진로 취업 회사생활 학교생활등 다 괜찮습니당
-
음...........
-
식후땡 9
맛있다
-
얘두랑 10
나 씻을까?ㅎ
-
아니 잇올형. 9
7모 공통만 뽑아서 줄거면 주지말라고.
-
우선순위를 어떻게 둬야 하나요? 학벌? 경력?
-
보기 해석 교량 A에 설치된 보가 균열이 심해져 ~ = 인장응력 > 인장강도 구나?...
-
하아 일단 운동이랑 과외는 끝 이제 실모 두 세트 풀고 해설 준비 해야함
-
호불호가 은근 갈리네 별로임뇨?
-
14번 뭘 잘못햇는지 한참품.. 오개념잇는듯.. 15번 20분가량썻지만못품...
-
강민철 모의고사 12
이거 진짜에요?
-
ㄹㅇ이해안되네 한화 젠지에선 맨날 욕처먹엇는데
-
현 고2입니다 수1은 한번 했고 수2는 안해봤는데 수1수2시발점 병행 가능할까요?...
-
지금은 살쪄서 저런옷 절대못입는데 저사진은 좀 어때보이냐 궁금함
탈관료제와 관료제 사이의 비교에선, 탈관료재에서 더 두드러진는 특성이라로 할 수 있어요 !
관료제는 연공서열이 더 중요하지않나
성과주의가 탈관료제에서 더 두드러지지않음?
관료제와 탈관료제 둘 다 과업중심임
그런데 전자는 후자에비하면 연공서열이더 두드러지고 후자가 성과주의가 두드러지지않음?
관료제가 연공서열 두드러지는건 맞는데
탈관료제가 성과주의 더 두드러진다고 보기는 좀 애매한거같음 관료랑 탈관료 둘 다 성과 과업을 중시하니까 효율적 조직 관리 체계를 위해 만든 시스템이고 탈관료는 관료제에서 생기는 목적전치현상이나 경직성 등을 줄이기 위해 대안으로 생긴거지
둘이 본질은 같아서 탈관료가 성과주의를 더 중시한다? 이게 맞는지는 모르겠음
일단 본인은 아니리고 생각함
저는 관료주의의 안정성을 부순이유자체가 성과때문인걸로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관료주의는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성을 중시
탈관료주의는 안정성을 희생하면서까지 극한의 효율을 추구하는걸로 알고있었음
탈관료가 중간 관리층 감소하고 의사결정단계 축소해서 예측 가능성이 낮아서 안정성이 좀 줄긴하는데 극한의 효율까지인지는 잘 모르겠음
좀 해석의 차이같긴함
탈관료제도 안정성 중요시 여기는건 맞아요
정도의 차이지
과업중심이면 둘다로 봐야할듯 둘다 공식조직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