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전개 외전 1] 문학 시간 단축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100625
생각의 전개 교재를 출판하고 나면, 매년 아쉬움이 남기 마련입니다.
조금 더 명확하게, 조금 더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서술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그렇지 못했다는 아쉬움이요.
그런 내용들을 일반적으로는 강의에서 열심히 알려 주기는 하는데,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제 게시글로도 남겨볼까 합니다.
이렇게 자잘한 +@의 내용들을 [생각의 전개 외전] 시리즈로 가끔씩 찾아 뵐 테니, 많이들 기대해 주세요 ㅎ
오늘의 주제는 '문학 시간 단축 꿀팁'입니다.
이름만 들어도 설레는 주제인데요. 6평 전까지 기출을 통해 조금만 연습하셔도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내용입니다.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운문문학의 '주제'를 강조합니다.
For 2024 피램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 78p 일부
수능 국어라는 시험은 결국 '독해력'을 묻는 시험이고, 이는 문학에서도 마찬가지라는 것, (물론 문학은 +@가 있긴 합니다.) 그리고 '독해력'을 묻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물음은 '주제를 찾았니? 그러니까 이 글이 하고 싶은 말이 뭔지 알겠니?'이고, 나아가 '시'에도 주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했는지가 핵심이 된다는 내용입니다.
사실 교재에서도 '주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고, 이를 바탕으로 선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는 내용을 많이 언급하기는 합니다. 그런데 오늘은 그 이야기를 조금 더 강조해 볼까 합니다.
극단적으로, 운문문학 문제를 풀 때 지문을 보지 않고 오직 '주제와의 연관성'만 생각하는 것으로도 선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2022학년도 수능 현대시+수필 세트입니다.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19번
현대시의 주제를 가장 잘 알려 주는 것은 <보기>입니다. <보기>가 있으면 그로부터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초가'라는 작품의 주제는 '오래전 떠나온 고향 떠올리기', '악화되어 가는 일제 강점기의 현실 묘사'네요. 지문을 보지 않고, 이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해 보겠습니다.
[A]. [B]가 어딘지 몰라도, '고향 회상'이라는 주제와 관련되어 있는 선지들입니다. 맞다고 칩시다.
화자의 '소망이 이루어진' 상황? 이 작품의 주제는 '악화되어 가는' 현실 묘사입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소망'을 가질 수는 있겠지만, 소망이 '이루어진' 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주제와 반대됩니다. 소망이 이루어졌다면 악화되어 가는 현실이라고 할 수 없을 테니까요.
'풍족한 결실을 거두지 못한 상황', 그 속에서 무언가를 지향하는 모습. 희망적인 메시지 때문에 조금 애매하기는 하지만, 어쨌든 주제를 포괄할 수 있는 선지입니다.
'가혹한 현실 상황'. 주제 그 자체입니다.
실제 이 문제의 정답은 3번이었습니다. 주제와 반대되는 선지가 정답으로 제시된 것이죠. 애초에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하면서 읽을 수 있는지를 묻는 시험이 수능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풀이가 가능한 것입니다.
다음은 (나)의 주제를 체크하고, 관련된 문제를 풀어 보겠습니다. (나)에는 <보기>가 없기 때문에, 스스로 지문을 읽으며 주제를 체크할 수 있어야 합니다.
For 2024 피램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 78p 일부
피램 교재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시의 주제는 '화자의 상황과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떠한 '반응'(=심리, 태도)을 보이고 있는지를 생각하며 가볍게 읽어 주시면 됩니다.
김관식, '거산호 2' (2022학년도 수능)
앞쪽만 대충 읽어도, 산을 바라 보는 '상황'에서 맨날 변하는 인간과는 달리 늘 푸르른 산이 너무 좋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나)의 주제는 '인간과 대비되는 산에 대한 사랑'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관련된 문제 풀어 볼까요?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20번
'주제'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산'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감상하라는 발문도 쉽게 이해되실 겁니다.
아무튼, 정답 선지인 2번 선지는 지문에서 인간과 대비된다고 했던 산을 인간의 덕성을 표면화하는 데 집중하는 잡스러운 것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제와 반대되는 선지이기 때문에, 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정답도 2번이었구요.
나머지 선지들을 보시면, 산의 '불변성'을 강조한다거나 죽어서도 함께 하고, 그리워하고, 지속적으로 지향한다는 '주제' 그 자체인 말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지문을 볼 것도 없이 허용되는 선지들이 되어 버리는 것이죠.
그렇다면 (가)와 (나)를 함께 물어 보는 문제도 풀어 볼까요?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22번
여기서 초록색 형광펜은 '주제'와 직결되는 부분, 노란색 형광펜은 '주제'와 반대되는 부분입니다. 답이 1번이라는 건 너무나 쉽게 알 수 있겠죠?
물론, 3번 선지처럼 애매한 선지들도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는 '주제' 중심으로 답을 고르면 답이 2~3개인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하는 것은 절대로 '주무기'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시를 독해하고, '근거'를 찾아 허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선지 판단의 대원칙이 '주무기'가 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일종의 '선지 스크리닝'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운문문학(+수필) 문제를 풀 때 '주제' 중심으로 선지를 스크리닝한 뒤, 이를 통해 답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선지들만 먼저 판단합니다. 이렇게 확실한 정답을 찾은 뒤에 나머지 선지를 처리하면 훨씬 빠르고 정확한 선지 판단이 가능해집니다.
참고로 이 세트는 '주제' 중심 선지 판단의 위력이 엄청난 세트였습니다. 나머지 세 문제도 모두 '주제' 중심으로 답을 쉽게 고를 수 있게끔 출제되었습니다. 무려 '수능'에서 말이죠! 나머지 세 문도 스스로 찾아서 이와 같은 내용을 적용해 보면 좋겠죠?
이 글만 읽고 '오~' 하고 넘어가신다면, 무슨 야매 스킬을 배운 것 같은 느낌이 드실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여기서의 '오~'를 스스로 기출에 적용해 보는 과정을 통해 '오!'로 바꾸셔야 한다는 겁니다.
만약 제가 지금 수험생이고 이 글을 읽었다면, 당장 기출문제집 운문문학 파트를 펼쳐서 정말 많은 문제들이 이렇게 해결되는지 확인해 볼 겁니다. 몇 시간을 써서라도 말이죠.
이러한 과정을 거쳐 평가원이 정말로 '주제' 중심으로 선지를 출제한다는 것에 확신을 가지게 되면, 당장 올해 6평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실 겁니다. 이는 단순한 야매가 아니라, '수능 국어'라는 시험의 존재 목적과 직결되는 본질적인 내용이니까요.
그리고 제가 지금 수험생이고 이 글을 읽었다면, '주제' 중심 선지 판단이 가능한 사례들을 찾아서 이 게시글의 댓글로 달아 볼 것 같습니다. 남들에게 도움이 되게끔 말이죠. 남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지만, 사실은 정리하고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본인이 가장 큰 도움을 받을 겁니다. 여러분도 그렇게 하시기 바랍니다.
'선지 스크리닝'을 통한 문학 시간 단축, EBS 외우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본질적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다음 [생각의 전개 외전]도 기대되신다면, 좋아요 댓글 많이 남겨 주세요 ㅎㅎ
이 외에 더 많은 내용으로, 제대로 국어를 공부하고 싶다면?
P.I.R.A.M 국어 생각의 전개 : https://atom.ac/books/10621
P.I.R.A.M 국어 7개년 기출문제집 : https://atom.ac/books/11077
0 XDK (+10)
-
10
-
3모때 85점이었는데 이번엔 문법 하나 틀리고 98점이네요 1등급 몇퍼센트 정도 예상하시는지
-
국수탐 다풀어야징
-
미소녀 싱글벙글 0
ㅎㅎ
-
https://orbi.kr/00063201897 외접원을 만들고 임의의 중심 O를...
-
ㅇㅇ?
-
내가 필드 나올때는 200프로 확률로 상황 다 바껴있을거 같음 근데 어짜피 내...
-
과연 민경쌤은...
-
같은 학교에 오르비언 10
학교 특성상 ㅈㄴ많을거같음 두렵다
-
잇올 장학... 1
언매 확통 영어 정법 사문 96 93 91 46 47인데 수능 44214라서 업키는...
-
23학년도6,9백분위 98 23수능 3--1 23학년도6,9백분위 80 23수능1--2
-
진짜 볼때마다 잘난 사람들 나와서 주늑드네 씨발..
-
근데 확실히 0
중앙대랑 서성한 급간 차이가 크구나,,,,
-
e-그린 PC방이라고 있었는데 ... 라면세트가 기가 막혔죠... ㅠㅡㅠ
-
그 중 하나는 조리가 10초 걸리는 라면 개발하기 ㄹㅇ 3분 4분 멍하게 있는거 넘...
-
일본 가고싶다 0
호주도 가고 싶고 서유럽도 가고 싶고
-
중학교, 고등학교를 모두 남중 남고 나오거나, 혹은 여중 여고 나온 오르비언 있음?...
-
수학goat분들 1
작수 미적 5등급에서 이번에 30번을 찍맞한거 제외하면 84점인데 오른건...
-
뭐가 더 어렵나요??
-
텔그 기준이긴 하지만 작수 국민대에서 6모 중대공대 후 올해 약대 가고만다 화이팅
-
중국 이제 ㅈ됨 3
대만 비장의무기 꺼냄
-
재수 153일차 0
9모 전까지 계획 다 갈아엎음 수학 탐구는 진짜 정직한 과목임,, 노력한 만큼...
-
외적인건 논외로 함 커플 얘기 들어보면 보통 여자애들은 보통 남자애가 평소엔...
-
제가 수학이 5따리라 9모 때 수학 3은 맞고 싶은데 9월 전까지 이동훈 기출...
-
22 6평치고 3일 뒤 올라온 생1 14번 추가 영상이라는데 "뭐 제가 떠올린 건...
-
살빼려는건 아니고 요즘 체력이 너무 안좋아서... 근력운동은 집에서 맨몸으로...
-
한말씀씩 조언 부탁드립니다
-
걍 f(x) 넓이라고 생각하고 오른쪽 근에서 넓이 최소 절댓값 씌우면 0이 최소니까...
-
노베이스 삼수생 0
서울대 토목 지구교육 조경 의류까지 다 뚫림
-
내일이면 나 공부시작한지 3주 되는 날임ㅋㅋ
-
반영비가 진짜 중요하구나 ..
-
24,25살에 의대 입학하면 아무리 성적 좋아도 인기과 못 가나요? 1
여자기준이요! 그리고 여자는 20대중반에 의대가는거 비추하시나요..?현직자분들 계시면 알려주세요
-
현재 독재다니는중인데 시대반수반은 떨어져서 강대를 갈지 독재하면서 단과를 다닐지...
-
“명문대 출신 스님, 두 아이 아빠였다?” 논란 끝 출판사도 손절 4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명문대 출신 이력과 방송 출연으로 이름을 알린 한 조계종...
-
안녕하세요. 평소 오르비는 눈팅만 하다가 6모를 보고난 후 뭘 해야할지 감이...
-
감독: 루치아노 스팔레티 유망주: 니콜로 파지올리 골키퍼: 이반 프로베델 수비수:...
-
안녕히주무세요 3
바바
-
쉐어하우스 룸메 0
나보다 1살 어린데 애가 왜케 싸가지가 없지 진심 죽여버리고싶네요 열받게
-
6모와 수능 0
6모보다 수능을 못 보는 경우가 훨씬 많나요?? 주변에서 아직 반수생도 안들어왔고...
-
15 22 30은 킬러고 21 14 29정도가 준킬러라 알고 있는데 맞나요 나머지...
-
제발선특
-
일단 어그로는 아니고 학부모로 정말 궁금해서 올립니다 미리 양해를.... 아직...
-
뭘로 하시나요??
-
정시확대에도 불구하고 의대 가기가 예전보다 어려운듯 늘어난 정시to를 지역인재가...
-
5덮 예상컷 그대로 6모 성적 나옴 ㄷㄷ
-
이번에 나온 작품들은 거의 수능에 안나온다고 보면 됨?
-
다른 수험생갤 반응이 왜그렇지 잘 모르겠네 내가 수학 허수라 그릉가 딱히 뭐 대놓고...
-
분위기 왜케 좋음.. 시경오빠 사랑해요
-
쩝..
-
. 1
스킨십이 하고 싶다.. 희희 스트레스 많이 받으면 그러는거 같은데 왜 그러는지는...
와우 좋은 팁 감사합니당
지문을 읽기 전 보기를 먼저 보는 건 알고 있는데 선지까지 함께 훑어보고 지문에 들어가도 되나요?
네 그렇게 해 보자는 것이 이 글의 취지입니다!
몇개 해봤는데 진짜 몇몇문제 바로 적용되네요! 감사합니다 역시피램...
통찰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바로 적용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