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생이 치환 자체를 이해 못하는거 같은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268151
어케 설명해줘야할까요..?
예를 들어서 y=(sinx)^2-4sinx+5 이런거 최대 최소 구할때 sinx=t로 두고 t 범위 구해서 걍 이차함수 최대 최소 구하는거랑 같다는걸 납득하기 힘들어함..... 문제는 제가 이걸 처음 배운게 언제인지 기억도 안나서 어느 포인트에서 납득을 잘 못하는건지 알수가 없네요. 이거 처음에 이해 잘 안갔던 분들 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지오지브라 마렵다
ㅋㅋㅋㅋㅋ
잘 설명하신 것 같은데
이거 그냥 납득하지 못하는 시기가 있음
그냥 외우라고 하고 넘겨야됨
외워서 풀다가 나중에 이해될때 많음
헉 !! 왜지
저는 그냥 외웠는데
주로 그 상태로 그래프 그리기 힘들거나 ... 뭔가 보기 싫어서 우리가 잘 아는 형태로 바꿔서 푸는거다~ 생각했던 것 같아요 그렇게 설명 들었던 것 같고 .. 흠
저도 처음엔 쌤이 그렇게 풀길래 그렇구나~ 하고 넘기다가 어느 순간 납득했던거 같기도...
sinx 로 그대로 쓴 풀이랑
t 로 바꿔서 쓴 풀이랑 둘이
같이 보여주면 어떨까용
오호 sinx그대로 두고도 풀어줘야 할듯
어색해서 그런거 아닐까요
첨에 치환계산 배울때는 다항함수로 배우지않나 a^2=A 같이 그냥 다항함수에서 설명 해주면 어떨까여
그래서 다항함수로도 설명해 주긴 했어요! 근데 저렇게 치환하는게 수1에서 처음이 아닌거네요 그럼...? 그럼 수상 배웠는데 까먹은건가
치환은 수1 보다 훨씬 전에 배웠을껄여? 수 상인가
"N축 입갤"
진짜 너무 답답해서 수1 과외시간에 합성함수 그릴뻔 했다.....
그런데 진짜 이해시키기에는 n축처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게 나을 수도
대충 연필을 갯수로 계산하나 연필 12개씩 묶어서 다스로 계산하나 똑같지 않냐고 하면 되죠.
sinx 그래프 그리고 t로 치환한 이차함수 그래프 그리고 sinx의 치역이 이차함수의 정의역인걸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스스로 납득할 시간을 줘보시는 것도 좋아보여요
가르치는 것도 인내심이 꽤나 필요한 일이네요...
걍 수학적 사고력이 부족해서 이래도 돼? 이런 생각이 드는건 아닐까요
그런거라면 걍 외워라고 할까요....
아니면 걍 치환하지 말고 완전제곱식에서 범위 만 따져서 구해보는 방식으로 하죠..이게 더 납득이 잘될꺼같고 sinx가 꼴보기 싫어서 t로 치환한거야 이 말이 납득이 더 잘될것 같은데요
친구 부를때 풀네임으로 부르면 귀찮으니까 대충 “ 야 “ 라고 부르듯이 풀이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본래의 단어 말고 다른 임의의 단어로 바꿔서 쓰는 거라고 하면..?
X^2-4x+5
X=sinx 라두면. Sinx는 -1부터 1까지만 값을 가질수 있으므로 x도 -1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질수 있다
이런식으로 이차함수 그리고 정의역 알려주면 이해할거같아요 저도 이렇게 이해했어요…
그런거 네모 세모로 설명하면 이해하기 쉬울듯
함수 이해할때 점 100개찍는거처럼
합성함수 구조자체를 점 몇개찍어보면서 설명하면 이해할거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