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699204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런 얘기 ㅈㄴ 나오는데 인강있으니까 이제 지방도 대치랑 똑같아<<<< 이러는건 좀...
-
다 서울와서 수업듣던데 수업 들어가기전에 학교이름 체크하는거 보면 막 경주고 동아고...
-
이때 성적표 받고 진짜 집 가서 울었음
-
틀닥들신났네 ㅋㅋ 12
응애는 아무것도 몰라 !
-
또 아웃팅 사건으로 하나 자퇴함 아니.. 그냥 애들 좀 가만히 냅둬 제발...
-
ㅈㄱㄴ
-
차라리 서양 고전 문학작품 출제하는 게 학생들한테 더 도움될 것 같은데 뭐 이런 미개한걸 내지
-
과외 무리일까요... 잘할자신 있는데 진짜로 2.5 받고 할수있나
-
수위 좀 있어서 못올리겠다 ㅋㅋㅋㅋ 도라이네 ㅋㅋㅋㅋ
-
기여운 내 필통 9
고양이. 좋앜.
-
잇올 점저깨 11
캔도 못따게 하냐 ㅋㅋ 시발뭔
-
메디컬 말고 줘도안감
-
잠깐 탈주함
-
서울 합격 커트라인은 82.67점 이걸 통과해도 세안 작성, 수업 시연, 심층면접을...
-
이천 여주 동두천 포천 안성 이런데는 ㄹㅇ
같은 모양의 비커 + 100g(그램) 조건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 모양도 같아야 하네요 ㅋㅋ
네네 다 동일할때에요
1. 100mL인 경우 mL(밀리리터)는 부피의 단위이기 때문에 둘 다 같다. 근데 이건 지1 문제라고 하기엔 애매한 것 같으므로 출제 의도가 아닌 것으로 생각
2. 100g인 경우 "최고" 높이라는 점이 조금 걸리긴 하지만 아마도 밀도를 물어봤을 것 같으므로(표면장력을 물어보진 않았겠지...?) 수온-염분도에서 수온이 40도인 해수가 밀도가 더 낮고, 부피는 더 커진다 -> 해수면의 높이는 비커 A에서 더 높다
+) 추가로 생각해 볼 점: 밀도가 같지만 염분(psu)이 다르고, 수온이 각각 섭씨 10도, 40도인 해수가 있다. 이 두 종류의 해수가 섞이면 밀도는 증가하는가 감소하는가, 아니면 일정한가?

지1을 통틀어 과탐 황이시네요..수능 때는 지1 대신 지2를 응시했지만 전체적으로 지구과학은 비전공자 (전)수험생 치곤 괜찮게 하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ㅎㅎㅎ
추가로 생각해 볼 점의 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증가아닌가요? 근데 40도 해수가 있긴 한가
넵 증가 맞습니다! 40도와 10도는 그냥 이 글 본문에서 바로 따온 거라 ㅋㅋㅋㅋ 그냥 적었네요 조금 문제가 될 수도...
P.S. 물이 섭씨 4도에서 밀도가 가장 커지는 것은 순수한 물에서만. 해수에서는 온도가 감소하면 밀도는 쭉 증가
오 그냥 물이랑 다르군요..

그러면 온도가 4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바닥에 깔리는 남극 저층수의 경우가 설명이 곤란합니다오랜만에 보니까 지엽 아이디어가 쏙쏙 떠오르네요
아 ㅁㅊ ml 부피단위인데 ㅋㅋ ㅋ ㅋㅋㅋㅋ
걍 열팽창때문에 a라고 보면 안 됨...??
밀도는 서로 다른 두 해수가 같이 있을 때 누가 위로 가냐 문제라 여기서 밀도를 따지는건 큰 의미가 없을것같은데...아닌가
그냥 단순히 열팽창 물어보는 거긴 햇어요..
차피 주어진 조건은 온도밖에 없는데 여기서 다른거 뭘 더 뽑아내기는 무리가 있을것같아서... 맞다면 다행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