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르는 별 · 1130904 · 22/05/16 22:28 · MS 2022

    같은 모양의 비커 + 100g(그램) 조건 말씀하시는 건가요?

  • 뷔뷔뷔 · 843612 · 22/05/16 22:28 · MS 2018

    아 모양도 같아야 하네요 ㅋㅋ

  • 뷔뷔뷔 · 843612 · 22/05/16 22:29 · MS 2018

    네네 다 동일할때에요

  • 흐르는 별 · 1130904 · 22/05/16 22:35 · MS 2022

    1. 100mL인 경우 mL(밀리리터)는 부피의 단위이기 때문에 둘 다 같다. 근데 이건 지1 문제라고 하기엔 애매한 것 같으므로 출제 의도가 아닌 것으로 생각
    2. 100g인 경우 "최고" 높이라는 점이 조금 걸리긴 하지만 아마도 밀도를 물어봤을 것 같으므로(표면장력을 물어보진 않았겠지...?) 수온-염분도에서 수온이 40도인 해수가 밀도가 더 낮고, 부피는 더 커진다 -> 해수면의 높이는 비커 A에서 더 높다
    +) 추가로 생각해 볼 점: 밀도가 같지만 염분(psu)이 다르고, 수온이 각각 섭씨 10도, 40도인 해수가 있다. 이 두 종류의 해수가 섞이면 밀도는 증가하는가 감소하는가, 아니면 일정한가?

  • 뷔뷔뷔 · 843612 · 22/05/16 22:38 · MS 2018

    지1을 통틀어 과탐 황이시네요..
  • 흐르는 별 · 1130904 · 22/05/16 22:44 · MS 2022

    수능 때는 지1 대신 지2를 응시했지만 전체적으로 지구과학은 비전공자 (전)수험생 치곤 괜찮게 하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ㅎㅎㅎ
    추가로 생각해 볼 점의 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뷔뷔뷔 · 843612 · 22/05/16 22:46 · MS 2018

    증가아닌가요? 근데 40도 해수가 있긴 한가

  • 흐르는 별 · 1130904 · 22/05/16 22:47 · MS 2022 (수정됨)

    넵 증가 맞습니다! 40도와 10도는 그냥 이 글 본문에서 바로 따온 거라 ㅋㅋㅋㅋ 그냥 적었네요 조금 문제가 될 수도...
    P.S. 물이 섭씨 4도에서 밀도가 가장 커지는 것은 순수한 물에서만. 해수에서는 온도가 감소하면 밀도는 쭉 증가

  • 뷔뷔뷔 · 843612 · 22/05/16 22:49 · MS 2018

    오 그냥 물이랑 다르군요..

  • 흐르는 별 · 1130904 · 22/05/16 22:51 · MS 2022

    그러면 온도가 4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바닥에 깔리는 남극 저층수의 경우가 설명이 곤란합니다
    오랜만에 보니까 지엽 아이디어가 쏙쏙 떠오르네요
  • 뷔뷔뷔 · 843612 · 22/05/16 22:40 · MS 2018

    아 ㅁㅊ ml 부피단위인데 ㅋㅋ ㅋ ㅋㅋㅋㅋ

  • |Mes Que un Club| · 1004179 · 22/05/16 22:36 · MS 2020

    걍 열팽창때문에 a라고 보면 안 됨...??

  • |Mes Que un Club| · 1004179 · 22/05/16 22:36 · MS 2020

    밀도는 서로 다른 두 해수가 같이 있을 때 누가 위로 가냐 문제라 여기서 밀도를 따지는건 큰 의미가 없을것같은데...아닌가

  • 뷔뷔뷔 · 843612 · 22/05/16 22:37 · MS 2018

    그냥 단순히 열팽창 물어보는 거긴 햇어요..

  • |Mes Que un Club| · 1004179 · 22/05/16 22:38 · MS 2020

    차피 주어진 조건은 온도밖에 없는데 여기서 다른거 뭘 더 뽑아내기는 무리가 있을것같아서... 맞다면 다행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