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황T(국어의기술) [27444] · MS 2003 · 쪽지

2020-06-02 12:37:59
조회수 1,384

국어 잘하는 분들 투표 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432907

다음은 2011학년도 LEET 언어이해 21번 문제 일부입니다. 실제 시험장에서 이 문제를 만났다면 어떻게 판단할 것 같나요?


--------------

  떨어진 두 음의 거리를 ‘음정’이라고 한다. 음정의 크기(1도~8도)와 성질(완전, 장, 단 등)은 두 음의 어울리는 정도를 결정하는데, 그에 따라 음정은 세 가지, 곧 완전음정(1도, 8도, 5도, 4도), 불완전음정(장3도, 단3도, 장6도, 단6도), 불협화음정(장2도, 단2도, 장7도, 단7도 등)으로 나뉜다. 여기서 ‘한 음의 중복’인 완전1도가 가장 협화적이며, 완전4도 <도-파>는 완전5도 <도-솔>보다 덜 협화적이다. 불완전음정은 협화음정이기는 하나 완전음정보다는 덜 협화적이다.

  중세의 선법 음악에서는 완전하게 어울리는 음정을 즐겨 사용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완전음정만을 협화음정으로 강조하면서 불완전음정과 불협화음정을 장식적으로만 사용했다. 하지만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불완전음정인 3도와 6도를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아래 선지는 지문과 일치하는가?

② 르네상스 시대보다 중세 시대에 협화적인 음정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내용일치

최대 1개 선택 / ~2020-06-09

rare-머리야 터져라! rare-이해황 rare-하트라봉이 rare-칭찬해오르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의대 가서 1일 1초밥 · 964861 · 20/06/02 12:39 · MS 2020 (수정됨)

    아니지 않나요..? 잘 모르겠..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2:40 · MS 2003

    정답(?)은 며칠 후에 발표하겠습니다. :)

  • 경한가라카대 · 924291 · 20/06/02 12:44 · MS 2019

    투표했슴다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4:29 · MS 2003

    감사합니다 :)

  • KAWA · 892694 · 20/06/02 12:47 · MS 2019

    "하지만" 때문에 맞는 선지인것 같기도 하고... 헷갈리네요
    실제 시험장이면 세모 쳐놓고 다른 선지들 볼 거 같아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4:29 · MS 2003

    의견 감사합니다 :)

  • 콜라젤리 · 947031 · 20/06/02 12:47 · MS 2020

    모른다로 갈려고했는데... 두 시기 모두 협화음정을 쓰니까 어디가 다 많이 협화음정을 썼는지는 알 수 없는거 같아요,..

  • 콜라젤리 · 947031 · 20/06/02 12:48 · MS 2020

    불완전과 완전은 양적인 부분이고 협화와 불협화는 질적인 부분이니.. 아예 불협화가 아니면 자료만으로는 알 수 없는거 같은데...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4:29 · MS 2003

    의견 감사합니다 :)

  • Dual H · 735914 · 20/06/02 12:48 · MS 2017

    일치한다에서 잘 모르겠다고 바꿔주세요 중세 시기의 음악과 르네상스의 음악의 길이가 서로 같지도 않아서 판단이 불가능할 것 같은데...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2:51 · MS 2003

    네, 추후 집계할 때 일치한다에서 -1을 하겠습니다. :)

  • 최수준 · 889986 · 20/06/02 12:51 · MS 2019

    저 지문이 리트였구나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2:52 · MS 2003 (수정됨)

    수능 기출됐던 지문과 내용적으로 유사해서 많이들 가르치시는 것 같더라고요 ㅎㅎ

  • 김젬마주예지forever · 964118 · 20/06/02 13:06 · MS 2020

    당연히 일치.... 어떻게 일치하지 않는거지...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3:15 · MS 2003

    좀 더 적극적인 의견은 아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 ㅎㅎ
    https://www.facebook.com/payhonor/posts/10220648181851077

  • 김젬마주예지forever · 964118 · 20/06/02 13:10 · MS 2020

    장식적으로'만'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4:29 · MS 2003

    의견 감사합니다 :)

  • TFT · 964972 · 20/06/02 13:29 · MS 2020

    일치하지 않는다에서 일치한다로 바꿔주세요 보기를 잘못봤네요 ㅎㅎ..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3:30 · MS 2003

    네 최종집계시 반영할게요~

  • 스위프트 · 869508 · 20/06/02 13:56 · MS 2019

    '협화적이다'의 정의가 시대에 따라 바뀌었는지 아닌지를 모른다고 생각하네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4:29 · MS 2003

    의견 감사합니다 :)

  • 세영삼원 · 797175 · 20/06/02 14:14 · MS 2018

    불완전음정: 협화적 음정
    르네상스 시대의 불협화음정 사용이 1. 감소 및 유지된 경우와 2. 증가한 경우에 대해 생각해보면
    1. 협화적음정의 사용은 증가
    2. 협화적음정의 사용은 증가 또는 유지
    따라서 선지는 본문과 일치하지 않음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4:29 · MS 2003

    의견 감사합니다 :)

  • Clearlove · 784698 · 20/06/02 14:57 · MS 2017

    음정 세가지
    1. 완전음정 (협화음정)
    2. 불완전음정(덜 협화적이기는 하나 어쨌든 협화음정)
    3. 불협화음정

    중세-완전음정=협화음정으로 강조+불완전음정과 불협화음정을 곁들임
    르네상스-중세보다 `불완전음정`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

    지문에 따르면 르네상스는 중세보다 `협화음정`인 `불완전음정`을 더 사용했다고 나옴.
    반면 완전음정과 불협화음정에 대한 얘기는 없음.
    따라서 르네상스 때 협화음정을 더 많이 사용함.->일치하지 않는다.

    근데 해황님이 내신 문제에서 틀린 기억이 꽤 있어서 확신은 못하겠네요..ㅋㅋ

  • Clearlove · 784698 · 20/06/02 15:00 · MS 2017

    근데 만약 르네상스 때 완전음정의 사용 감소량이 불완전음정 사용 증가량보다 더 크면 협화음정 전체사용량이 줄어들 거라 알 수 없음 같기도 하네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5:10 · MS 2003

    지문으로부터 알 수 없는 내용 또한 지문과 일치하지 않는 선지에 포함되긴 하죠 ㅎㅎ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5:10 · MS 2003

    [수능/PSAT/LEET] "알 수 있는 것은?"
    https://orbi.kr/00030325383

  • Clearlove · 784698 · 20/06/02 16:38 · MS 2017

    오 감사합니다

  • t2ddy · 947694 · 20/06/02 15:49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t2ddy · 947694 · 20/06/02 15:51 · MS 2020
  • t2ddy · 947694 · 20/06/02 15:52 · MS 2020

    손으로 안 풀고 눈으로 풀어서 잘 모르겠지만 시험장에서 답이 존재한다고 믿고 가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6:08 · MS 2003

    상세한 의견 감사합니다. :)

  • 갈곳잃은 반수생 · 892049 · 20/06/02 15:55 · MS 2019

    처음에는 일치하지 않겠다 라고 판단했는데 보면 볼수록 모르겠네요.ㅜㅜ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16:10 · MS 2003

    괜찮아요. 꼭 자신의 국어실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필요는 없어요. :)

  • BbyYaxdlwIojCE · 700064 · 20/06/02 19:09 · MS 2016

    알 수 없음으로 보여 일치하지 않는다에 투표했습니다

  • blended · 744093 · 20/06/02 20:38 · MS 2017

    일치하지 않음에서 일치함으로 바꾸어 주세요~

  • blended · 744093 · 20/06/02 20:39 · MS 2017

    재밌네요 문제가ㅋㅋ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2 20:42 · MS 2003

    보통 시험장 밖에서 보면 국어 문제는 다 재미있습니다. ㅎㅎ

  • 청년사범 · 367856 · 20/06/05 14:54 · MS 2017

    알 수 없어서 일치하지 않는다 눌렀는데 44:44네요 박빙..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14:55 · MS 2003

    흥미로운 설문결과죠 ㅎㅎ

  • 청년사범 · 367856 · 20/06/05 14:55 · MS 2017

    네 실제 정답은 일치하는 선지로 나왔네요 전 시험이었음 오답ㅋㅋㅋㅋ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14:58 · MS 2003

    이 문항은 공식해설서가 더 괴상한데... 다들 그대로 베껴서 해설했는지 이 문항 다른 해설서 다 뒤져봐도 문제의식이 없더라고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18:06 · MS 2003

    이 문항에 대한 출제기관 공식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② 중세 시대는 완전협화음정을, 르네상스 시대에는 불완전음정을 주로 사용했기 때문에 맞는 진술이다.

  • Vena · 795473 · 20/06/05 15:21 · MS 2018

    지문 중 생략된 부분에 16세기 대위법에 관한 내용이 나오는데, 자연스러운 음향을 추구한 르네상스 시대에는 중세 시대보다 불완전음정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니, 불협화음정 또한 더 자주 활용했음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불협화음정의 사용 빈도가 늘어났으니 협화적인 음정의 사용 빈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했다고 생각할 수 있고, 지문과 일치하는 내용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청년사범 · 367856 · 20/06/05 16:22 · MS 2017

    상대적 감소를 이야기하려면 총횟수를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 Vena · 795473 · 20/06/05 16:58 · MS 2018

    본문의 맥락을 이해해 보면, 절대적인 총 사용 횟수를 비교하라는 의도로 만든 선지는 아닌 것 같습니다.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르네상스 시대에는 불완전음정을 중세시대보다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불완전음정, 불협화음정, 협화적 음정을 합하여 100%의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때
    불완전음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대위법이 등장했으므로 불협화음정의 비중 또한 높아졌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협화적 음정이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르네상스 시대보다 중세시대에 협화적인 음정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요.

    '적극적으로'를 '많이'로 대체한 것이 2번 선지입니다.

  • 청년사범 · 367856 · 20/06/05 17:30 · MS 2017

    답변 감사드립니다. vena님께서 어떤 생각이실지는 자세한 댓글 남기시기 전부터 저도 알고 있었습니다.

    다만 제가 시험치르는 입장이면 위에 댓 clearlove님과 같이 생각하며 고민할 것 같으며 이러한 고민이 완전히 틀린 고민이라곤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17:45 · MS 2003 (수정됨)

    대위법에 대한 부분을 참고하더라도, 불협화음정이 더 자주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해당 부분은 말 그대로 "불완전음정인 3도와 6도를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예시일 뿐입니다.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17:42 · MS 2003

    "불협화음정 또한 더 자주 활용했음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라고 하셨는데 근거가 없습니다.

  • Vena · 795473 · 20/06/05 17:58 · MS 2018 (수정됨)

    "...불완전음정인 3도와 6도를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16세기 대위법의 음정 규칙에서는..."

    위 서술로 보아 16세기 음정 규칙으로 인해 불완전음정을 더 자주 사용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본문에서 드러나는 음정 규칙은 불완전음정에만 관한 것은 아니고, 불협화/불완전/완전음정의 진행에 관한 것입니다. 즉 완전음정만을 즐겨 사용하지 않고, 규칙에 따라 자연스러운 진행을 위해 불완전음정과 불협화음정도 자주 사용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전에는 장식적으로만 사용했지만, 이제는 장식이 아니라 메인(?)인 '단계적 진행'의 요소가 되었으니까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18:05 · MS 2003

    1. 중세에는 불완전음정과 불협화음정을 장식적으로 사용했습니다.
    2. 르네상스 시대에 불완전음정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는 의미는 '예를 들어'에서 구체화됩니다. 불협화음정을 쓰고 나서 완전음정으로 가기 전에 (중세와 달리) '단계전 진행'의 요소로서 '불완전음정'을 거치도록 했다는 거죠. 제시된 내용은 이게 전부입니다.

    정리하자면, 불협화음정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는지 지문에 언급이 없고, 막연히 더 늘었을 것이라 짐작하는 것은 논리적 비약입니다.

  • Vena · 795473 · 20/06/05 19:53 · MS 2018

    장식적으로만 사용하는 것을 넘어, 대위법에 따라 단계적 진행을 위해 규칙화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불완전음정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고 서술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요?

    그렇다면 불협화음정도 같은 이유로(단계적 진행을 위해 불협화음정과 불완전음정이 모두 사용되니까)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하였는데, 어디에서 비약을 찾을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20:11 · MS 2003

    장식적으로 사용되던 불협화음정 사용비율은 그대로인데,
    불협화음정에서 완전음정으로 진행될 때,
    불완전음정이 추가되는 경우가 있다면, 이는 지문과 양립할 수 있나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20:12 · MS 2003

    덧붙여서 이 문항에 대한 출제기관 공식해설도 검토해보길 바랍니다.

    "② 중세 시대는 완전협화음정을, 르네상스 시대에는 불완전음정을 주로 사용했기 때문에 맞는 진술이다."

  • Vena · 795473 · 20/06/05 20:48 · MS 2018

    말씀해주신 경우는 사실 장식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어서, 양립이 가능한지 어떤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에는 양립이 불가능한 것 같긴 합니다.

    제 상식 선에서 생각해 보건대 각 선율(수평적 음향)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데, 불협화음정과 완전음정 사이에 불완전음정을 삽입하게 되면 두 선율 모두를 파괴하지 않을까요...? 잘 모르긴 해도 그런 식으로 작곡이 이루어질 것 같지는 않아서요.

    + 법전협의 해설은 저도 확인해 보았습니다만, 별로 납득이 안 가는 설명인 것 같습니다. 불협화음정의 비중이 줄어들어야 협화적인 음정의 비중이 늘어나는데, 불완전음정은 협화적인 음정이지 불협화음정이 아니니까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20:53 · MS 2003

    "불협화음정과 완전음정 사이에 불완전음정을 삽입하게 되면 두 선율 모두를 파괴하지 않을까요...?"
    > 지문에 제시된 "예를 들면 7도의 불협화적인 음향이 ‘매우’ 협화적인 음향인 8도로 진행하기 전에 ‘적당히’ 협화적인 음향인 6도를 거치도록 했는데"가 바로 그런 내용 아닌가요? 이게 "불완전음정인 3도와 6도를 더 적극적으로 사용"한 거고요.

  • Vena · 795473 · 20/06/05 20:59 · MS 2018

    저는 그 내용을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불협화음정과 완전음정 사이마다 불완전음정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선율을 구성할 때 처음부터 단계적 진행이라는 규칙을 염두에 두고 구성하는 것으로요. 그렇다면 불협화음정을 이전과 같이 장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게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불완전음정과 마찬가지로 자연스러운 음향 표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된 것이니까요.

    선율을 만든 뒤에 음정을 끼워넣으면 곡이 엉망이 될 것 같아서 이렇게 생각한 것 같습니다.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21:23 · MS 2003

    "불협화음정과 완전음정 사이마다 불완전음정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 "악보 (가)"와 "예를 들면" 이후의 내용을 대응시켜가며 읽은 건가요?

  • Vena · 795473 · 20/06/05 22:10 · MS 2018 (수정됨)

    네 맞습니다. 악보를 통해서도 이해해볼 수 있습니다.

    즉 악보 (가)에서 원래 선율을 '레-도'와 '도-도'로 구성했는데 이것이 7도-8도라서 '레-레-도'와 도-시-도' 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선율을 구성하기 전부터 "불협화음정 뒤에는 완전음정이 이어질 수 없고 불완전음정을 거쳐야 한다"라는 규칙을 고려하여 '레-레-도'와 '도-시-도'로 구성한다는 것입니다.

  • Vena · 795473 · 20/06/05 22:20 · MS 2018

    + 대위법의 규칙이 저것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저 규칙 하나만을 사후적으로 적용한다는 것이 어색하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모든 규칙을 사후적으로 적용할 수도 없으니까요.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22:31 · MS 2003 (수정됨)

    혹 아래에 대해 답변해줄 수 있다면 추후 이 문항에 대한 칼럼을 준비할 때 반영하겠습니다.

    1. "불협화음정과 완전음정 사이에 불완전음정을 삽입하게 되면 두 선율 모두를 파괴하지 않을까요...?"라고 했었는데, (가)를 고려했을 때 여전히 이렇게 생각하나요?

    2. 장식적으로 사용되던 불협화음정 사용비율은 그대로인데,
    불협화음정에서 완전음정으로 진행될 때,
    불완전음정이 추가되는 경우가 있다면, 이는 지문과 양립할 수 있나요?

    '장식적으로'라는 말은 수능기출문제를 고려해봐도 그렇고, 일상어감각으로도 그렇고 주요한 부분으로 쓰이지 않는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그렇다고 모든 규칙을 사후적으로 적용할 수도 없으니까요." 이게 구체적으로 무슨 뜻인가요??

  • Vena · 795473 · 20/06/05 23:27 · MS 2018

    1.

    악보 (가)는 결과물입니다. 즉 (가)를 통해서는 7도와 8도를 먼저 만들고 그 사이에 6도를 끼워넣은 것인지, 또는 7도 6도 8도를 한번에 만든 것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런데 전자는 본문과 직관에 비추어 보았을 때 불가능하다고 보입니다. 예시가 될지 모르겠지만 '나비야' 동요는 '솔-미-미'로 시작하는데요, '솔-미'를 먼저 구성한 뒤에 사이에 미를 넣어서 '솔-미-미'가 되었을 리는 없기 때문입니다. 처음부터 '솔-미-미'를 만들었을 것입니다. 사후에 음을 삽입하면 선율을 파괴한다는 말은 즉, 완성된 선율 속에 음을 삽입할 리는 없다는 뜻입니다. 처음부터 그 규칙을 고려한 채로 선율을 구성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지 않으면 선율이 망가지겠죠. 물론 결과적으로는 좋은 선율이 될 수도 있으나, 원래 의도했던 선율과는 달라질 것입니다. 또 규칙을 사후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어색한 이유는 대위법의 규칙은 매우 복잡하여 단 하나의 규칙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인데요, 이는 3번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

    양립 불가능합니다. 이전과 같이 불협화음정을 장식적으로 활용하고, 그 이후에 규칙에 따라 불완전음정을 추가하는 것은 1에서 본 바와 같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전과는 달리, 불협화음정을 사용할 때부터 규칙에 근거해야 합니다. 규칙에 따라 사용하였다면 단계적 진행을 위해서 불완전음정과 마찬가지로 불협화음정도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이 됩니다.

    3.

    16세기 대위법은 많은 규칙을 포함합니다. 그중 하나를 본문에서 "예를 들어"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불협화음정을 이전과 같이 장식적으로 활용한 뒤에, 대위법의 규칙 중 하나를 고려하여 선율을 수정한다는 것은 매우 이상해 보입니다. 아무 규칙에도 따르지 않고 선율을 마음대로 구성한 뒤 모든 규칙을 사후적으로 고려하여 수정한다는 것도 매우 어색하죠. 오히려 모든 규칙을 처음부터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율을 구성할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백지에 그림을 그릴 때 조건이 몇 가지 있다면, 그중 하나를 고려하지 않은 채 그림을 그리고 나서 사후적으로 수정하기보다는, 처음부터 모든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림을 그리려 할 것이라는 예상과 마찬가지입니다.

  • Vena · 795473 · 20/06/05 23:27 · MS 2018

    정리하자면, 불협화음정을 이전과 같이 장식적으로 사용하려면 본문에 소개된 대위법 규칙에 따라 배치되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그 규칙에 따라 배치한다면 불완전음정과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장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 규칙이 적용되기 이전에 불협화음정을 배치해야 하는데, 이는 불가능합니다. 대위법에는 많은 규칙이 있는데 그 모두를 사후적으로 고려할 리는 없으며, 그중 하나만을 사후적으로 고려한다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즉 불협화음정은 대위법의 규칙에 따라 선율 속에 배치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불완전음정과 마찬가지로,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된 것이 됩니다.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5 23:43 · MS 2003

    의견 고마워요!! :)

  • Vena · 795473 · 20/06/05 23:45 · MS 2018

    저도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칼럼 나오면 읽어볼게요, 감사합니다!

  • 이해황T(국어의기술) · 27444 · 20/06/09 20:17 · MS 2003

    자문 교수님께 이 문항에 대해 검토의뢰를 드렸고, 역시 출제오류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지문에 명시된 것들만으로, 명백한 내용만 검토하면 됩니다.
    --
    덧붙여서 "(가)를 통해서는 7도와 8도를 먼저 만들고 그 사이에 6도를 끼워넣은 것인지, 또는 7도 6도 8도를 한번에 만든 것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와 관련하여 짧게 코멘트하자면, 애초에 사후적 적용을 떠올릴 필요가 없습니다. 반사실적으로 비교하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 Vena · 795473 · 20/06/18 06:25 · MS 2018 (수정됨)

    너무 늦게 읽었네요 ㅠㅠㅠ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