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돼생 · 941611 · 20/03/28 01:33 · MS 2019

    형별 파트가 있었음? 사형제도 파트?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8 01:33 · MS 2019

  • rnoon · 897987 · 20/03/28 03:37 · MS 2019

    응보주의적 관점에서 범죄자의 '악행'을 돌려주는거라서 '악'이었던 것 같습니다.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8 10:59 · MS 2019

    감사합니다

  • Zola · 758219 · 20/03/29 01:46 · MS 2017

    기출 다시 보셈. 특히 칸트 제시문요! 감사합니다라고 할 때가 아닌 것 같네요....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1:47 · MS 2019

    ? 악 맞는데요

  • Zola · 758219 · 20/03/29 01:48 · MS 2017

    어디 나오던가요?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1:49 · MS 2019

    범죄=악이라 그걸 형벌이라는 악으로 되갚아주는거죠.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1:48 · MS 2019

    동해보복의 원리 자체가 악을 악으로 갚는다는 뜻이에요

  • Zola · 758219 · 20/03/29 01:52 · MS 2017 (수정됨)

    혹시 개념 강의 들으시면 그 분의 강의를 다시 한 번 봐보세요. 아니면 ebs를 들어보시든가요. 아니면 제 말 무시하셔도 되구요.
    그리고 용어를 자의적으로 바꾸시면 안 됩나다. 님은 동해보복이라는 용어를 동'악'보복이라는 용어로 바꾸셨네요.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03 · MS 2019

    동해보복의 원리는 해를 똑같은 해로 갚아준다는 겁니다. 즉, 범죄라는 해를 그에 걸맞는 해인 형벌로 부과한다는 거죠. 따라서 형벌자체가 '해', 즉 악임은 변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응보형주의에서도 형벌의 해악으로서의 성질을 부정하지않아요.

  • Zola · 758219 · 20/03/29 02:06 · MS 2017

    님이 말하는 해악을 '고통' 정도로 바꾸어도 될까요?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08 · MS 2019

    ? 공리주의인가요

  • Zola · 758219 · 20/03/29 02:10 · MS 2017

    아니요. 동해보복에서 '해'를 '고통'으로 바꾸어도 되냐는 질문입니다.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14 · MS 2019

    형벌자체는 악이지만, 형벌은 공적정의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써 사용가능한 필요악이 될 수 있다고 보지 않나요?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11 · MS 2019

    질문의 의도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해를 고통으로 바꾸는 것과 이 논의가 무슨 상관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Zola · 758219 · 20/03/29 02:14 · MS 2017

    해를 고통으로 바꿀 수 있다고 합시다.
    그러면 다음 질문이 가능하죠. 고통은 악인가?
    여기에 공리주의는 '응'이라고 하겠죠. 그런데 칸트는 아닙니다. 칸트는 고통을 악(도덕)으로 보진 않았으니까요. 그래서 물어 본 겁니다.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26 · MS 2019

    해를 왜 고통으로 바꿀수 있는 지 없는 지는 저한테 물어보실게 아니라 칸트에게 물으시는게.. 일개수험생이 그런걸 알고 있지는 않습니다.

  • Zola · 758219 · 20/03/29 01:55 · MS 2017

    여튼 혹시 칸트 기출 제시문보다가 님의 생각과 제시문 내용이 뭔가 충돌하는 것 같다 싶으시면 질문 주세요. 제가 아는 한에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열공+즐공=대박!!

  • Zola · 758219 · 20/03/29 02:18 · MS 2017

    17학년도 수능 10번 을 제시문에 '사형은 살인범의 인간성을 훼손할 수 있는 모든 가혹행위로부터 살인범의 인격을 존중하는 것이다'라고 나옵니다. 님의 논리대로 하자면 사형은 악이지만 살인범의 인격 존중을 위해 필요한 필요악인가요?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21 · MS 2019

  • Zola · 758219 · 20/03/29 02:23 · MS 2017

    그렇게 생각하시면 칸트의 인격주의(수특 22쪽에 나옵니다. 물론 기본 개념이구요)가 필요'악'이 될 수도 있다는 건가요?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35 · MS 2019

    인격주의가 악인 것이 아니라 이를 실현시킬 수단이 악이라는거죠. 선을 악으로 실현시킨다니 모순적이긴 하지만 일개 수험생인 제가 더 이상 파고들 수는 없을 것 같네요. 출제자도 이를 인식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위 개념이 정답선지로 차용되는 문제는 못본 것 같습니다.

  • Zola · 758219 · 20/03/29 02:19 · MS 2017

    15학년도 수능 6번 을 제시문에는 '형벌의 법칙은 하나의 정언 명령이다.'고 나옵니다. 이것도 님의 논리대로 하자면 형벌은 정언명령을 따르는 악인가요?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23 · MS 2019

    형벌의 법칙=정언명령따라서 죄지은 자의 인격성을 회복시켜주자! 이걸 따르기 위해서는 형벌이라는 '악'을 쓸 필요가 있다는거죠. 다시 말해, 정언명령은 선하게 만들어 주라를 지시하는거고 이를 따르기 위해서는 형벌이라는 악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거 아닙니까..?

  • Zola · 758219 · 20/03/29 02:31 · MS 2017

    댓글이 안달려서 여기다 답니다.

    죄송하네요. 답'만' 얻어가려는 입장에서 저같은 타입은 짜증이 나시겠지만....그냥 외우려고 한다면 저는 드릴 말씀이 없구요.(제가 책임질 답변을 할 위치는 아니니까)
    그래도 뭔가 배운 내용 안에서 이것 저것 따져볼 의향이 있는지 궁금해서 이런 저런 댓글을 단 것입니다.
    누군가에게 배우고 있다면 그 분 가르침을 따르시구요. 그게 아니라면 지금까지의 문답은 무시하십시요(죄송하네요). 순간 호기심이 좀 생겨서 쓸데없는 참견을 하였습니다.

  • 문벼뤼누나 · 881944 · 20/03/29 02:33 · MS 2019

    아닙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Zola · 758219 · 20/03/29 02:42 · MS 2017 (수정됨)

    ^^(예의가 바르신듯)...깊이 안 들어가셔도 될 겁니다. '도덕적 해악'과 '물리적 해악'을 구분해야 하는데....그걸 구분하지 않고 그냥 '해악'으로만 생각해서 생겨나는 논란이라 봅니다.
    덧붙임. 늦은 밤 말 상대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