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知訥) [790812] · MS 2017 · 쪽지

2018-12-12 18:41:37
조회수 3,420

서강대 경영 논술 문제+내가 쓴 거 복기해서 올린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905590


서강대학교 경영 논술 


1. (), (), ()를 요약하고, ()와 ()를 비교한 다음 한국이 성장 정책과 물가 안정 정책 중 어떤 정책을 실시해야 하는 지 정하고 그 근거를 ()와 ()를 통해서 설명하시오.

(800~1000) (40)


(경제 활성화 정책은 국민의 소득을 증대 시키는 정책이다한국은 초반까지 소득 증가 정책을 주로 실시해 왔다그러나 2000년대 이후 소득의 증대로 인한 물가 상승이 꾸준하게 이루어짐에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발생되었다이에 따라서 한국의 경제에 양극화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 하였고 정부를 이에 대응하여 물가 안정 정책을 주로 실시하게 되었다.


(경제는 장기적으로는 성장하지만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불경기의 경우 고용이 감소하여 사람들의 소득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적극적으로 정책을 수행하여 이를 해결해야 한다호경기의 경우 기업이 활성화 되어 기업의 고용과 지출이 증대된다이에 따라서 사람들의 소득이 증가하여 소비를 할 수 있게 된다그로 인해서 수요가 시장의 생산을 압도하게 되어 물가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해당 그래프는 2001~2017년 사이 한국에서 발생한 경제 성장률, 1인당 소득물가 상승률의 관계를 보여준다해당 관계를 일반적인 국가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하시오.


경제 ()

성장률 1인당 소득

 

4%

 2500

 1인당 소득

 0 2500 3000 

 

물가 한국 미국 

상승률 경제 성장률



 2.5%

 경제 성장률

 2.5% 4%


 한국 미국




<1>

()와 ()에서는 경제에 대해서 공통된 주장을 한다우선두 입장은 공통적으로 경기의 활성화가 인플레이션을 야기한다고 한다왜냐하면 ()는 인플레이션이 물가의 지속적인 성장에 의한 것이라고 정의 하는데, ()는 사람들의 소득이 증가하여 수요가 소비를 압도함으로써 물가가 증가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그리고 ()는 경제 성장률과 물가가 비례함을 보여주어 경제성장이 인플레이션을 야기한다고 말한다

 반면두 입장은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 ()는 개인의 소득 증가가 경제를 성장 시킨다고 보는 반면 ()는 1인당 소득의 증가가 경제 성장률을 하락 시킨다고 본다왜냐하면 ()에서는 호경기의 경우 사람들의 소득이 증가하여 수요가 생산을 압도하여 물가가 증가한다고 보기 때문이다이와 달리 ()에서는 1인당 소득과 경제 성장률이 반비례 관계임을 보여준다또한 ()에서는 ()의 주장과 같이 정부가 경기에 대응하여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하나, ()에서는 각 요소들의 경제적 상관관계를 제시할 뿐이다

 한편, ()와 ()를 통해서 볼 때한국은 물가안정 정책이 아니라 성장정책을 해야만 한다우선, ()와 ()를 통해서 볼 때한국은 1인당 소득증가 대비 경제 성장률이 평균보다 낮다이 때, ()를 통해서 물가 상승률과 경제 성장률이 비례 관계를 형성 한다는 점에 의거할 때한국은 물가 상승률이 타 국가에 비해 낮다, ()와 같은 일부 입장처럼 한국이 물가 상승에 대한 문제를 걱정하는 것은 기우에 불과한 것이다또한 한국보다 1인당 소득이 높은 미국이 평균보다 높은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물가 상승률을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볼 이유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한국은 성장정책을 수행해야만 한다.






















2


()에서는 세계화의 영향을 보여준다. ()~()를 통해서 ()~()를 각각 분석하고, ()에서 발생한 세계화의 영향에서 다국적 기업이 해야할 바람직한 역할을 서술하시오

(800~1000) (60)


()세계화로 인해서 국가와 인종의 경계가 허물어졌다이로 인해서 국가 사이의 경계를 뛰어넘는 다국적 기업이 등장하게 되었고기업들 간 국가를 초월한 자유로운 경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하지만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세계화로 인해서 국가 사이의 빈부 격차와 같은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문화의 고유한 가치는 존중 되어야만 한다이는 각 문화의 가치가 다양한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복합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국가 간 문화에는 고유한 가치가 존재하지만 살인을 금하는 것과 같은 보편적 도덕규범 또한 존재한다.


(자유경제에서 기업이 지는 사회적 책임은 오로지 하나뿐인데이는 게임의 규칙을 준수하는 한에서 기업이익 극대화를 위하여 자원을 활용하고 이를 위한 활동에 매진하는 것즉 속임수나 기망행위 없이 공개적이고 자유로운 경쟁에 전념하는 것이다.


(한국의 기업은 멕시코의 고유한 문화를 반영한 전자레인지를 판매하여 큰 이익을 얻었다.


() N사는 파키스탄에서 아동 노동을 실행했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고 있다비록 아동노동은 N사의 지시가 아니라 N사의 하청 업체가 일으킨 문제이며, N사는 평소에 아동 윤리법을 지켜 왔지만국민들의 반발과 사람들의 비난으로 인해 주가가 37%나 하락하게 되었다.


(일리노아주는 아동 고용을 금지하는 정책을 발표했다이로 인해서 기성복을 만드는 미국의 공장들이 말레이시아에서 대거 철수하게 되었다그런데 문제는 미국의 기성복 공장들의 철수로 인해서 기존에 여기에서 노동을 하던 아동들이 성매매나 더 열악한 처우의 공장으로 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2>

()에서는 세계화 이후 보편적 도덕규범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준다왜냐하면 N사의 아동 노동이라는 비윤리적 행위를 국민과 네티즌 모두가 비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 말과 같이 보편적 윤리 의식이 실존하는 것이다또한 ()에서는 세계화 이후에 기업이 그 문화의 고유한 가치를 존중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이는 ()에서 B기업이 멕시코의 고유한 문화를 반영하여 큰 이익을 얻었기 때문이다이에 따라서 만약 N사가 파키스탄 문화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업을 진행 했다면파키스탄 국민들은 N사가 실제로는 아동법을 충실히 지켜 왔음을 이해하여 그들의 설명을 이해하여 N사의 회사 가치가 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에서는 세계화 이후 그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해야만 함을 보여준다왜냐하면 ()에서 말한 것처럼 그 국가의 문화는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이다그러므로 미국이 기성복 생산 공장을 일방적으로 철수하게 한 행위가말레이시아 산업에 큰 타격을 주어 그 나라의 아동들이 성매매와 같은 위험에 처한 것이다그리기 ()에서는 기업이 게임의 규칙을 지킨다면 자유롭게 경쟁을 해야 한다고 본다이는 기업이 자유롭게 경쟁하는 행위가 그 산업이 실시되는 국가에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그 문화적 특수성을 경시한 정치인들에 의해 해를 입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계화와 기업의 관계를 통해 다국적 기업은 다음과 같은 행동일 해야 한다우선그 나라의 문화적 고유성을 고려하는 것이다이는 ()에서 B기업이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큰 이윤을 남겼다는 사례를 통해서 알 수 있다그리고 무엇보다도 기업은 게임의 규칙을 준수하는 하에서 자유 경쟁을 추구하는 것을 꺼려서는 안 된다위의 말레이시아의 사례와 같이 기업이 경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그 기업이 활동하는 국가에 영향을 미쳐 그 국가 산업의 기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기업은 게임의 규칙을 준수하는 것을 필두로 추가 이윤을 얻기 위해서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기업 행위를 해야 한다.




근데 이거 표는 안 올라가네. 사진으로 올림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