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bi조선생 [112180] · MS 2005 · 쪽지

2016-05-03 00:02:04
조회수 4,213

[수험생활 이야기] 선택과 집중? 아직 포기하긴 이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365769

수능이 198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백의 자리 숫자가 바뀜에 따라, 많은 분들이 심리적으로 쫓기는 듯한 느낌을 받으실 겁니다.


그리고, 이쯤 되면 늘 수험생들 사이에서 하나의 유행처럼 번지는 것이 있으니.

바로 "선택과 집중" 이라는 전략입니다.


대단히 현명한 전략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상 이는 '포기'를 미화하는 말에 불과합니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제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글을 쓰게 되겠지만...

적어도 이 시점에서는 그렇습니다. 지금 여러분들이 하려는 일은 '포기'입니다.


중간고사를 막 치른 고3 수험생들은, '수능에 집중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남은 3학년 1학기 내신을 포기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중간고사를 막 끝낸 반수 수험생들도 1학기 학점을 포기하고 싶을 수 있고.


재수생들은 특정 과목에 대한 생각을, 서서히 내려놓고 싶어할 수 있습니다.


그러시면 안 됩니다. 아직 뭔가를 선택하기에는, 시간이 너무나 많이 남았습니다.

반잔 남은 물을 두고, '반이나 남았네' 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라는 투의 

진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정말로 시간이 너무나 많이 남았습니다.


지금부터, 멍청해보일 수도 있는 무식한 방법으로 이걸 증명해 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이 하루에 온전히 집중해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5시간에 불과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수능까지 여러분께 정확히 990시간의 공부시간이 주어집니다.


국 / 수 / 영 / 탐구1 / 탐구2 / 제2외국어, 

총 6과목을 공부한다고 가정하고 시간을 배분해 보겠습니다.


본인의 강점, 약점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겠으나

일반적으로 국/수/영 vs 탐구 등의 비중을 7:3 정도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즉, 앞으로 남은 990시간을 국 / 수 / 영 에 693시간, 

그리고 나머지 과목에 297시간 투자한다고 봅시다.


그리고 모두 균등하게 배분하여 투자한다고 가정해 본다면

국 / 수 / 영 각 과목에 231시간씩, 탐구 등의 과목에 99시간씩을 투자할 수 있습니다.


[국어]

231시간 = 13,860분

여러분들이 한 문제에 3분씩 투자해서 (물론 실전에서 3분씩 투자한다는 건 말도 안 되지만)

열심히 국어 문제를 푼다고 하면 산술적으로 4,620 문제를 풀어낼 수 있습니다.

한 강좌당 15시간짜리 인터넷강의를 3강좌 듣는다고 가정해도,

남는 시간에 국어 문제 3,720 문제를 풀고 시험장에 갈 수 있습니다.

국어 만점 받기에 충분해 보이지 않나요?

(우리는 한국어의 원어민이잖아요... 3천문제면 충분합니다.)

아직 포기할 필요가 없습니다.



[수학]

역시 주어진 시간은, 231시간 = 13,860분

심혈을 기울여 엄선된 문제들을 한 문제당 10분씩 고민해 가면서 푼다고 가정하면

무려 1,386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수학의 경우에도, 완강에 15시간이 필요한 인터넷강의를 3강좌 듣는다고 가정해도,

여전히 1,116문제를 풀 수 있는 시간이 남습니다.

수학공부를 전혀 안 한 상태로 출발한다고 해도, 수능에서 원하는 성적을 내기에 충분한 공부량입니다.



[영어]

영어 또한 주어진 시간은, 231시간 = 13,860분

사실 이쯤되면, 여러분들이 제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셨을 테니

더 이상의 계산은 무의미하겠으나... 여기까지만 이어서 해 보겠습니다.

한 문제당 5분씩, 독해 안 되는 지문을 사전 찾아가며 열심히 해석하고 풀어본다고 가정하면

2,772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인강 듣는다고 해도, 2,232문제를 풀 시간이 남네요.


탐구과목이나 제2외국어 영역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과목마다 99시간씩을 투자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여러분들이 수능에서 원하는 성적을 얻을 수 있을 만큼의 실력을 기르는 건 충분히 가능합니다.

(탐구과목을 인강 찍을 수준으로 마스터하거나,

제2외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동시통역사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니니까요)


이 모든 계산이, 여러분들이 하루에 겨우 5시간만 공부한다고 했을 때 가능한 것들이었습니다.

물론, 하루에 5시간만 공부하세요 - 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더 오랜 시간 집중해서 공부할 수 있게 될수록, 포기해야 할 이유는 점점 더 사라져가겠죠.


이제, 이 시점에서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왜 변명에 불과한 것인지, 이해가 되시나요.


수능시험은 아직 저 멀리에 있습니다.

벌써부터 포기할 과목, 포기할 전형, 그런 거 없습니다.


선택과 집중은 "절대적으로 역량이나 시간이 부족할 때" 하는 겁니다.

그 때가 되면, 다시 알려 드리겠습니다.



내일도, 후회가 남지 않는 하루로 만드세요. 언제나 응원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