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wanism(정도환) · 376046 · 14/09/03 18:40 · MS 2011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831581
    이 글에 의해 첨삭 신청을 받아, 무료로 첨삭된 글들입니다.
    9월 모평을 보신 여러분들 너무 수고 많으셨고 남은 한달가량 논술준비하시면서
    첨삭을 통한 평가가 필요하시면 쪽지로 신청 받고 있습니다.

  • Hwanism(정도환) · 376046 · 14/09/03 18:41 · MS 2011

    위의 기출문제를 풀어보신 분들은 다른 사람의 글을 보면서 자신의 글과 비교하고,
    제가 첨삭한 부분들을 자신은 잘못하지 않았나 확인해보시면서 공부하시면 큰 도움이 될겁니다.

  • 文돌이 · 519597 · 14/09/03 18:50 · MS 2014

    2번씩이나..! ㅋㅋ 감사합니당 ♡

  • Hwanism(정도환) · 376046 · 14/09/03 18:52 · MS 2011

    또 필요하시면 말씀하세욥 ㅎㅎ

  • 文돌이 · 519597 · 14/09/03 18:55 · MS 2014

    제가 2번 첨삭 맡기면서 매번 대응쪽에서 약점이 보이는것 같은데..
    대응을 잘 하기위한 일종의 팁??같은거라도 있을까요??
    논술을 체계적으로 배웠던 적이 없어서그런지 방법론 같은게 안 세워져 있는것같아요 ㅠㅠ

  • Hwan(정도환) · 376046 · 14/09/03 19:08 · MS 2011

    대응이라는 발문자체의 이미지를 머리속에 그려보세요.
    항상 A라는 관점에서 B를 바라보는게 대응의 이미지입니다.

    지금 글을보면서, 대응 자체는 되는데 문제는 근거서술에서 부족한 부분이 나타나거든요. 단순하게 일치 불일치 뿐만이 아니라 왜 서로 다른 제시문 끼리를 바라보는것을 출제자가 의도했을지를 생각해보시면서 풀면 됩니다. 그러면 공통된 관점이라는 하나의 기준이 나올거에요. 이 기준에 맞춰서 대응하는 느낌을 가져보세요.

  • 文돌이 · 519597 · 14/09/03 19:14 · MS 2014

    1. 근거서술은 제시문 안에서 그대로뽑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제시문보고 추론해서 쓰는게 나을까요?
    2. 공통된 관점이라함은..? 발문에서 '새로움을 받아들이는 다수의 역할'이라고 나와있는거면 그게 기준인건가요?

  • Hwan(정도환) · 376046 · 14/09/03 19:16 · MS 2011

    1. 제시문에서 뽑아야되요 지나친추론은 비약으로 이어집니다.
    2. 네 그런셈이죠 ㅎㅎ

  • 文돌이 · 519597 · 14/09/03 19:20 · MS 2014

    아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