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ajinny [478107] · MS 2013 · 쪽지

2014-01-16 11:14:53
조회수 6,046

EBS영어_유형별 전략_수특 어휘편(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23339

2015년 수능특강이 지난주에 나왔습니다.
본격적인 수능 준비의 카운트 다운이 시작된 느낌이네요. ^^

저는 통으로 'EBS 교재 공부는 이렇게하자' 는 말보다는,
어차피 EBS 교재도 공부하면서, 비연계 준비도 하려면,
문제 출제 유형 분석으로 본인이 특히 부족한 유형의 본질을 파악하셔야 합니다.

단순히 하루에 독해 10제풀기, 혹은 EBS 1강씩 하기..
하는 식의 공부계획은 치료법을 모르고 아무 약이나 먹는 환자와 다를바 없습니다.

기왕이면, 수능 출제 유형과 가장 유사한 EBS 교재의 유형별 접근법을 제시해드리면서,
EBS 교재의 변형 출제 원리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주에 출간 된 2015 학년도 수능특강 교재로 유형 분석을 시작해보죠. ^^

 

1강. 문맥 속 어휘 추론 유형
: 문맥에 적절한 어휘 찾기 유형입니다.
저도 5년 전 정도만 해도 학생들에게
어휘 추론 유형을 준비하는 혼돈 어휘 booklet 을 제작해서 나눠 주곤 했어요. 

이를 테면  

 ex)
 objection (반대,이의) - objective (목표, 객관적인) - objectivity (객관성)
 complement ( 보충하다 ) - compliment ( 칭찬, 칭찬하다 )
 appreciate + 사물 - thank + 사람
 successful (성공적인) - successive (연속하는)  ... 같은...


물론 spell 이 유사하지만, 뜻이 다른 어휘를 꼭 외워 두면 좋죠. 

하지만, 최근 수능 출제 경향 or EBS 지문의 어휘 추론 유형은..

유사 spell 단어 구별이 아니라, '문맥' 속의 어휘를 추론하는 유형-

즉, 글의 주제에 가장 부합한, 적절한 어휘를 고르는 유형인 것입니다.


2015 수특 1강 어휘 선택형 (1)  유형 분석

선택 어휘만 보면, 유사 spell의 조합도, 그렇다고 반의어의 조합도 아닙니다.. -(C) 를 제외하고 말이죠..

(A) [density / isolation]

(B) [curb / predict]

(C) [private / public]

이렇듯, 예전 흔히들 배포되는 자료로 바뀐 수능에 대처하려니,
공부한 것 따로 시험 문제 따로 라는 느낌이 들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선택형 어휘 선택의 경우 대부분 앞 뒤 문장에 유사, 유의어가 있어서,
문장 간의 해석을 제대로 했는 지가 관건입니다.


1번
The health of cities like New York, Los Angeles, and San Francisco represents an astonishing turnaround from the past, when (A) [density / isolation] too often meant death.

Throughout most of human history, proximity enable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at struck down those humans who had the boldness to risk living near one another.

Huge investments in massive waterworks were needed to (B) [curb / predict] the spread of cholera and yellow fever, just as huge investments in policing were needed to reduce crime in the 1990s.

The massing of millions in small land areas requires a vigorous (C) [private / public] sector to combat crime and illness.

This perhaps explains why people in New York are so much fonder of big governments than people in rural Kansas.


어휘 선택형은 앞 뒤 문장에 반드시 단서가 있습니다.
동의어나 유의어 주변의 선택문항의 답이 있는 것이죠.

The health of cities~  represents an astonishing turnaround from the past, when (A) [density / isolation] too often meant death.
도시들의 건강 상태는 ~ 과거와는 다른 놀라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조밀함/고립]이 흔히 죽음을 의미했던 (과거와 달리)

바로 다음 문장에
 Throughout most of human history, proximity enable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인류 역사에 걸쳐서, 근접성은 전염병을 확신 시키게 했다.

Huge investments in massive waterworks were needed to (B) [curb / predict] the spread of cholera and yellow fever
대규모의 급수 시설의 막대한 투자가 필요시 되었다 - [억제하기/예상하기] 위해 (콜레라와 황열병 확산을)
같은 문장안에
just as huge investments in policing were needed to reduce crime in the 1990s.
정책결정에 거대 투자가 요구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 1990년 대의 범죄를 줄이기 위해

The massing of millions in small land areas requires a vigorous (C) [private / public] sector to combat crime and illness.
규모가 작은 지역에 수 백만의 사람들은 강력한 [사적/ 공적] 영역이 필요하다 범죄나 질병과 싸우기 위해서 (어휘 단서)


어휘 단서 정리


(A) [density  의 단서는 뒷 문장 =proximity 근접성]
유의어 단서 : from the past = Throughout most of human history

(B) [curb /  의 단서는 뒷 문장  to reduce ]
비교 단서 :just as (마찬가지로)  ~ to reduce crime

(C) [public /  의 단서는 뒷 문장  big governments] 
 논리 단서 :This perhaps explains why
people in New York are so much fonder of big governments
뉴욕 사람들이 왜 거대 정부를 왜 좋아하는 지를 설명해 준다.

이렇듯, 어휘 추론 문제는 단순히 유사 spell  단어 외우기가 아니라,
앞 뒤 문장의 단서를 찾아서 '유의어' 를 찾는 -
즉 문맥 (글의 핵심 주제)를 추론하는 유형인 것입니다.


그래서 어휘 추론 문제가 변형될 경우, 글의 요지, 제목 문제로 변형되기 쉬운 것 입니다.
물론 이 지문이 경우


1. Why People Prefer to Have Large Public Sectors (제목)
2. 도시에서의 삶을 유지하려면 막강한 공적 기관이 필요하다 (요지)



공부 할 때,
어떤 문제를 맞고 틀렸느냐 보다 중요한 것은
'제대로' 풀었느냐 입니다.
어차피 수능 준비를 하시려면,
몇번 반복하는 횟수보다
'지문'을 정확하게 이해하셔야
EBS 를 통해 '비연계' 까지 준비하시는 겁니다

다음 엔 어휘 유형 중 밑줄 형 문제를 분석하는 법을 알려드리죠 ^^
모두 열공하세요 ~


The Harder, The Easier.

차 진희 T


http://class.orbi.kr/group/11/info




2015 수특 1강 어휘 밑줄형 (2)  유형 분석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