쩝쩝접 [591036] · MS 2015 · 쪽지

2017-01-20 02:33:03
조회수 431

[펌] ‘으악새’는 ‘풀’ 이름인가 ‘새’ 이름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811238

원로 가수 ‘고복수’ 선생이 부른 ‘짝사랑’이라는 유행가가 있다. 그 첫머리는 “아~ 아~ 으악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로 시작한다. ‘으악새가 아주 구슬프게 울어대는 것을 보니 벌써 가을이 온 것이 아니냐’는 애절한 심경을 담고 있는 가사다. 이 노래에 익숙한 기성세대는 가을이 오면 으레 이 노랫말을 읊조리며 깊은 상념에 빠지곤 한다. 그런데 이 노래를 애창하는 사람들도 정작 ‘으악새’가 어떤 새인지 잘 모른다. ‘으악새’가 어떤 새냐고 물으면 그저 ‘으악, 으악’ 하고 우는 새가 아니냐고 반문하기만 한다. 새 이름에는 그 울음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들이 많다는 점에서 ‘으악새’를 ‘으악, 으악’ 운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설명하는 것도 크게 잘못은 아니다. ‘뻐꾹, 뻐꾹’ 울어서 ‘뻐꾹새’이고, ‘종달, 종달’ 울어서 ‘종달새’가 아닌가.


문제는 그와 같은 새를 본 적이 있느냐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으악, 으악’ 하면서 우는 새를 본 적이 있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개를 흔든다. ‘으악새’의 정체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으악새’라는 말 자체에 대해서도 생소하다. 그래서 이 노래에 나오는 ‘으악새’를 새 이름이 아니라 풀이름으로 이해하려는 사람들도 제법 많다(사실 필자도 그와 같은 견해를 갖고 있었다). ‘으악새’가 포함하는 ‘새’가 ‘풀’이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고, 실제 ‘으악새’가 ‘억새’라는 풀의 경기 방언으로 쓰이고 있다는 점이 그 강력한 증거로 제시된다.


‘으악새’를 ‘억새’로 보는 사람들은 ‘으악새 슬피 우는’이라는 구절을, 억새가 가을바람에 물결치듯 흔들릴 때 우는 듯한 마찰음이 나는데 그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설명한다. 억새가 소슬바람에 스치는 소리는 정말로 스산하고 처량하다. 그래서 그 소리를 얼마든지 풀이 우는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표준어인 ‘억새’가 아니라 방언인 ‘으악새’로 표현한 것은 노래의 가락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시적(詩的) 해석으로 말미암아 이 노래는 더더욱 빛을 발한다. 그런데 정작 이 노래 속의 ‘으악새’는 ‘억새’라는 풀이 아니라 하늘을 나는 ‘새’이니 이를 어찌하랴. 이 노래의 작사자는 노랫말을 쓴 배경을 설명하면서 ‘으악새’를 뒷동산에 올라가 보니 멀리서 ‘으악, 으악’ 우는 새의 소리가 들려 붙인 이름으로 설명한다.


그럼 이 ‘으악, 으악’ 울던 새는 어떤 새였을까? 딱히 그 새의 종류를 말할 수는 없지만 ‘왜가리’였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지역에서 ‘왜가리’를 ‘으악새’니, ‘왁새’니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왜가리’의 울음소리는 듣는 사람에 따라서는 ‘으악, 으악’으로 들릴 수도 있고, ‘왁, 왁’으로 들릴 수도 있다. ‘으악, 으악’ 우는 소리를 근거로 ‘으악새’라는 명칭이 만들어지고, ‘왁, 왁’ 우는 소리를 근거로 ‘왁새’나 ‘왜가리’라는 명칭이 만들어질 수 있다. ‘으악, 으악’ 우는 소리와 ‘왁, 왁’ 우는 소리는 그렇게 다른 소리가 아니다. ‘왜가리’라는 새의 울음소리를 지역에 따라 얼마든지 달리 들을 수 있다면 ‘으악새’니, ‘왁새’니, ‘왜가리’니 하는 서로 다른 명칭이 나온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노래 속에 나오는 ‘으악새’가 새 이름이라는 사실은 그 노래의 제2절을 들어 비교해 보면 더욱 분명해진다. 제2절은 “아~ 아~, 뜸북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로 시작한다. ‘으악새’와 대응되는 ‘뜸북새’가 조류 이름이기에 그에 대응되는 ‘으악새’ 또한 조류 이름인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따라서, “아~ 아~ 으악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는 ‘으악새라는 새가 슬피 울어대니 가을이 아닌가요’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렇게 해석하면 ‘으악새’를 ‘억새’로 풀이할 때의 시적 이미지는 싹 가신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