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오띵 [556931] · MS 2015 · 쪽지

2016-10-22 17:52:03
조회수 301

So long as myth is a collective narrative by defintion, the only relevant consideration are the mentality and purposes of the society for which the myth is myth.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413643

So long as myth is a collective narrative by defintion, the only relevant consideration are the mentality and purposes of the society for which the myth is myth.

이거 해석 어떻게 되나요??

So long as ~하는 한 뜻으로 쓰인 거 아니에용?

for which 선행사가 society 맞나여?

거기서 for 뜻이 뭔가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킬 녕 · 520625 · 16/10/22 17:57 · MS 2014

    미신이 정의에 의한 집단의 이야기인 한, 적절한 고려사항은 오직 그 미신이 미신이기 위한 사회의 정신과 목적이다.

  • 킬 녕 · 520625 · 16/10/22 17:59 · MS 2014

    아니 미신이 뭐길래 태그가..

  • 새벽별 · 569530 · 16/10/22 17:58 · MS 2015

    정확하진 않지만..

    신화는 집단적인 이야기이기 때문에
    유일하게 관련된 고려할 점은
    사회의 사고방식과
    신화가 신화로서 존재하는 사회의 목적이다

  • 파오띵 · 556931 · 16/10/22 18:05 · MS 2015

    아.. 해석이 돼도 이해는 안 되네욬ㅋㅋㅋㅋ

  • 새벽별 · 569530 · 16/10/22 18:13 · MS 2015

    신화가 집단(사회)가 공유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다른거보단 그 집단이 가지고 있는 사고방식과 신화가 전승되는 목적이 중요하다(영향을 미친다) 는거 같아요!

    예를 들어서 단군신화에 나오는 곰과 호랑이는 그 당시 사회가 토테미즘(이라는 가치관)을 숭배했다는걸 알 수 있잖아요

  • 으아아악악악 · 391568 · 16/10/22 18:14

    ㄴㄴ 그러니까 미신이란거 자체가 ㅅ회 구성원들의 collective한 산물이란거에요.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 고대 사회에서 흉작이 들면 하늘님이 노하셨다며 제를 지내는 것은 사회 구성원들의 풍년에 대한 기원 (purpose and mentality)가 colletive된 산물이란거죠. 그래서 신화 내지는 미신을 고려할 때 사회의 속성 (ex 농경 사회냐) 등을 고려 해야한단 것 입니다

  • 파오띵 · 556931 · 16/10/22 18:41 · MS 2015

    와.. 영어 잘하시는 분은 사고력도 엄청난 듯..
    부러워요 ㅜㅜㅜㅜ 고맙습니다!!

  • 으아아악악악 · 391568 · 16/10/22 18:45

    ^^ 도움 됐으면 좋겠네요 열공하세여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