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코맛복어국 [647271] · MS 2016 · 쪽지

2016-02-13 02:09:03
조회수 3,898

군의관 가려면 레지던트까지 다끝내야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961057

공보의는 그냥 의대졸업만하면 갈수있는걸로아는데

군의관은

의대 (6년)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 까지 다마쳐야 갈수있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숙아사랑해 · 583533 · 16/02/13 02:20 · MS 2015

    인턴도 간다카더라요

  • 초코맛복어국 · 647271 · 16/02/13 02:27 · MS 2016

    그부분이 궁금합니다.

    의대졸업직후 입대 -> 공보의

    인턴마치고 입대 -> 군의관 (중위)

    레지던트까지 다마치고 입대 -> 군의관 (대위)


    이게 맞나요??

  • 퍼그 · 645671 · 16/02/13 02:26 · MS 2016

    나무위키 군의관가보시면 잘 나와있어요

  • 퍼그 · 645671 · 16/02/13 02:27 · MS 2016

    즉, 학부 졸업 이후 인턴 과정을 마친 후보생은 의사로서의 경력이 1년이기 때문에 중위 1호봉으로 임관하여 2년차 말에 대위 진급심사를 받고 3년차에 대위로 1년간 복무한 뒤 전역한다.
    레지던트를 마치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보생은 의사로서의 경력이 5년이기 때문에 대위 3호봉으로 임관하여 대위 계급으로 전역한다.
    전문의 취득 이후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과정을 밟으면서 펠로우로 근무하여 의사로서의 경력이 7년 이상인 후보생은 대위 5호봉으로 임관하며, 2년차 말에 소령 진급심사를 받고 3년차에 소령으로 1년간 복무한 뒤 전역한다.
    이론상으로는 9년 이상의 경력으로 입대하여 바로 소령으로 임관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으나, 이는 매우 예외적인 경우로[2] 찾아보기 힘들며 의사가 소위로 임관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3]

    이외에 공중보건의라는 것도 있는데, 이건 그해 군에서 필요한 전문의 과별 인원 및 일반의 필요 인원을 다 뽑아낸 나머지 인원에서 뽑게 된다. 따라서 소아과 의사는 대부분 공보의로 가고 정형외과의사는 해에 따라서 4급도 군의관으로 가게 된다. 의전원 제도 정착 이후 미필 출신의 의대 졸업생이 줄어들면서, 최근에는 공보의의 숫자 또한 급격하게 줄고 있다. 현역 군의관은 국방부에서 전문과목별로 차출이고 남는 인원이 공보의인데, 여학생은 군대를 안가므로 여학생의 수에 따라 병역자원의 수가 달라진다. 그런데 절대다수의 남자 의사들은 군의관보다는 공보의로 가는 것을 원한다. 왜인지는 근처 군의관에게 물어보자.[4] 그냥 무조건 공중보건의가 군의관보다 좋다. 공보의는 공무원이므로 군인이 아닌 민간인도 아닌 말그대로 공무원... 실제로 의사들의 군복무는 군의관과 공보의 중 국방부에서 배정해주는 것으로 하게 되어 있다. 육/해/공군도 본인 선택이 아니라 성적순국방부 배정이다. 공보의가 보충역 이등병으로 소집해제함으로서 군의관이 공보의보다 좋은 점은 딱 하나뿐이다. 바로 전역시 계급. 사실상 없어졌다.

    나무위키 펌

  • 초코맛복어국 · 647271 · 16/02/13 02:37 · MS 2016

    와....답변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