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07-24 16:51:34
조회수 552

2010학년도 9월 언어 문제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19550

심해저의 다양한 퇴적물 중에서 생물의 골격과 그 파편 등에 의해 생성된 것을 생물기원퇴적물이라 한다. 심해저의 가장 흔한 생물기원퇴적물은 ㉠연니(軟泥, ooze)이다. 이는 주로 죽은 부유생물의 껍질, 골격 등과 바람이나 유수에 의해 육지로부터 멀리 운반된 점토류가 섞여 형성된다. 심해저에서 연니를 형성하지 않는 점토류는 1,000년에 걸쳐 2mm 정도가 퇴적되는데 비해, 연니는 1,000년 동안 약 1~6cm가 퇴적된다. 연니는 표층수에 사는 부유생물의 양이 많을수록, 해저에서 형성된 후의 용해 속도가 느릴수록 많이 퇴적된다.

코콜리스나 유공충과 같이 탄산염으로 구성된 석회질의 생물체 잔해가 적어도 30% 이상 포함된 퇴적물을 ‘석회질연니’라고 하고, 규소를 함유한 규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생물체의 잔해를 30% 이상 포함한 퇴적물을 ‘규질연니’라 부른다.

석회질연니는 비교적 따뜻하고 얕은 곳에 분포한다. 왜냐하면 차가운 해수는 탄산염을 용해시키는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포함하므로, 탄산염보상수심*보다 깊은 곳에서는 탄산염 성분으로 구성된 생물체의 골격이나 잔해가 녹아 없어지기 때문이다. 심해저 표면의 약 48%를 덮고 있는 석회질연니는 대서양 중앙부분과 동태평양 등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한편, 심해저 표면의 약 14% 정도를 차지하는 규질연니는 탄산염이 녹는 수심보다 깊은 곳에서도 발견된다. 특히 용승 현상으로 영양분이 풍부한 물이 표층으로 올라오는 곳에 규질연니가 많이 분포하는데, 이는 용승이 일어나는 곳에 규질연니를 구성하는 부유생물이 많이 서식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용승이 일어나고 차가운 해류가 흐르는 남극 부근에서는 용승 현상으로 규조류가 많이 서식하므로 심해저에서 규질연니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또한 태평양의 적도 부근에 길게 분포하는 용승 지역에 규질연니가 많이 형성된 것도 규질 생명체 중 하나인 방산충이 많이 서식하기 때문이다.

연니의 형성과 분포, 그리고 구성물의 내용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면, 퇴적물이 쌓일 당시의 고해양 환경, 생물의 서식 분포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연니는 과거의 해양 환경을 연구하는 데 열쇠 구실을 한다.

* 탄산염보상수심 : 탄산염의 공급량과 용해량이 같아지는 수심. 평균적으로 약 4,500 m임.


문제 중 표층수에 서식하는 생물체의 양과 연니의 양은 비례한다.

라는 선지가 옿은데요

부유생물(독자적인 유영을 하지 못하고 물의 움직임에 따라 부유하는 모든 생물을 부유생물이라 한다.)의 양이랑 비례하는 거지 저렇게 생물체의 양과 비례한다는 근거를 찾을 순 없지 않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피아테 · 467201 · 14/07/24 16:53 · MS 2013

    표층수에 서식하는 생물체

    = 표층수에 서식하는 부유생물

    이라고 볼 수 있지 않나요?

  • jerrytwo · 480154 · 14/07/24 22:52 · MS 2013

    부유생물은 저기 쓰인 것처럼 한정된 수식을 받는 생물들을 가리키고 퓨층수에 부유생물만 산다는 것을 판단할 만한 다른 내용이 주어지지 않은 이상 그렇게 확정하는 건 조금 어렵다고 생각합니다...